1. 들깨수확

여름내 무성하던 들깨

반은 모종이 녹아버리고

그나마 남은게 실하게 익었습니다

노랗게 잎이 변해가고 꼬투리가 까맣게 영글어가는데

언제 베어내야 하는지 모르니

무조건 베어내 바닥에 깔아놓았습니다


며칠후 날씨가 추워진다는데

서둘러 타작을 합니다

보통은 도리깨질을 해서 깨를 터는데

도리깨도 없고 둘이 나란이 앉아 탕탕 쳐 대야 했습니다.

처음으로 해보는 일이 재미도 있었지만

서투른 솜씨 탓에 손을 때리기도 하고 엉키기도 하며

초보의 못짓으로 작업을 하다보니 힘은 곱배기로 드는 듯 합니다.

들깨가 쉽다고 했는데 이것 역시 만만치 않습니다

두드리는게 장난이 아닙니다

반복되는 단순노동이라 지루하기도하고

팔이 아파오지만 어쩝니까



올해에는 들깨가 형편없이 안 여물었다고들 하는데,

뽀얗고 잘 여문 들깨가 잘 쏟아집니다.

키가 작은 들깨일수록 들깨 알은 더 크고 잘 여물었습니다.

코끝을 스치는 들깨 특유의 향긋함과 고소함이

먼지는 나지만, 기분은 좋습니다.

초보농군이 이게 어디야~



깨를 털고 나면 어떻게 선별하는지

인터넷에 물어봅니다

얼개미(굵은체)질을 해서 검불을 선별해야 한다는데...

풍구가 없으니 선풍기로 잔 검불을 모두 날려보내야 하는데

두번이나 반복 작업을 해도 선별은 커녕 깨만 날려보냅니다

키질

어려서 할머니가 하시는 일을 옆에서 보기는 했는데

이거 보통 기술이 아닙니다

아래위로 흔들어대면 깨는 뒤로 가고

검불이 앞으로 나가야 하는데

어쩐일인지 우린 반대로 되는 겁니다

깨는 앞으로 나가고 검불은 뒤로 모이고..

에이, 내가 해볼게~

둘이서 교대로 재주를 부려보지만 어림없습니다

마무리 손질에 점심조차 늦어지는 하루가 되었습니다.

포기하고

동네 할머니에게 부탁하려고 자루에 담아놨는데

...한마디로 기가 막힙니다!!^^



정말이지 농사는 쉬운 게 하나도 없나봅니다

겨우 이거 수확하기위해 그 많은 공정을 거쳐야했기에

땅 갈고, 씨 뿌리고, 뽑아서 모종심고,

풀 뽑고. 낫으로 베고, 묶어서 세우고, 말리고, 털고, 선별하고

다시 말려서 방아간에 가져가야 맛있는 기름을 먹을 수 있습니다

수입으로 따지면 얼마 되지 않고, 오히려 밑지는 농사이지만,

해마다 거르지 않고 심을 수 밖에 없는 작목중의 하나입니다.

내년엔 잘 해봐야지 다짐을 해봅니다만

별 수 있겠습니까.

키질부터 배워야 깨농사를 할 수 있습니다


'사는이야기 > 귀촌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땅콩수확  (0) 2010.10.27
가을의농장  (0) 2010.10.22
잡초에게서 야성을 배우자  (0) 2010.09.24
숲길  (0) 2010.09.19
귀농준비  (1) 2010.08.16

잡초에게서 야성을 배우자


농사에 있어서 잡초는 큰 일거리이다.

예전엔 이 잡초들을 손으로 다 제거했었지만,

지금은 과학의 힘을 빌어서 해결하고 있다.

요즘 새롭게 문제가 되는 잡초는 저항성 잡초이다.

항생제를 남용으로 인한 슈퍼박테리아가 발생하여 항생제 치료효과가 없어지듯이,

제초제를 사용해도 제초효과가 생기지 않는 저항성 잡초가 발생했다.

오랫동안 같은 계통의 제초제를 계속 사용하면 나중에는 그 제초제가 살포해도

잡초가 죽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하는데, 이를 저항성 잡초라고 한다.

우리나라 논잡초의 경우에는 물달개비, 알방동사니 등이

설포닐유레아계(SU계)의 약제에 대한 저항성이 나타나고 있어

잡초방제의 새로운 문제거리가 되고 있다.

따라서 같은 계통 대신 다른 계통의 약제를 번갈아 사용해야 한다.

잡초는 뭘까? 원하지 않는 곳에서 자라는 풀이다.

즉 절대적인 기준이 아니라 상대적인 기준이다.

잡초의 대명사인 피도 예전에는 작물이었고,

예전에 작물이었던 달맞이꽃이 지금은 잡초이다.

벼농사에 있어서 왕골은 잡초이지만,

반면에 왕골농사를 하는 논에서는 벼가 잡초이다.

잡초는 씨를 뿌리기는커녕 해마다 제거하는 데도 끊임없이 발생하는 까닭은 왜일까?

잡초종자는 크기가 작고, 이동성도 높으며,

휴면성도 복잡하여 오랜 기간 동안 생존할 수 있으며, 특히 종자생산량이 많다.

한 그루에서 보통 수백~수백만 개의 종자를 생산하며, 미숙한 종자라도 발아할 수 있다.

토양은 종자은행이라고도 할 수 있는데,

잡초의 종자는 땅 속에서 오랜동안 휴면하면서 기회가 될 때마다 발아하며 번식한다.

그러므로 잡초를 완전히 없앤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잡초는 분명 농사를 힘들게 하는 경쟁자이다.

그렇다고 해서 잡초를 모조리 없애려고

제초제를 마구 살포하다가는 인간도 피해를 볼 수 있다.

잡초의 씨를 말리겠다는 욕심은 오히려 농약중독, 토양오염, 노동력 낭비 등

역풍을 맞을 수도 있다. 잡초는 어쨌든지 잡초의 근성대로 살아날 것이다.

농작물은 잡초의 싸움 상대가 되지 못한다.

농작물은 인간의 돌봄이 없다면 잡초에게 KO패를 당할 운명이다.

농작물은 생산을 위해 자라지만 잡초는 생존을 위해 자라기 때문이다.

농작물은 식량을 생산하기 위한 인간에게 길들여진 맞춤식물인 반면에,

잡초는 스스로 생존력을 터득한 야생식물이다.

식량을 위해 농사를 짓는 인간에게 있어서 잡초는 골칫거리이지만,

잡초의 삶에 대한 의지와 야성은 배울 만한 요소라고 생각한다.

/빌려온글

'사는이야기 > 귀촌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을의농장  (0) 2010.10.22
들깨수확  (0) 2010.10.18
숲길  (0) 2010.09.19
귀농준비  (1) 2010.08.16
출입문  (0) 2010.08.16

귀촌이야기 /숲길


봄은 식물이 몸집을 키우는 계절이라면

뜨거운 여름은 무더위 속에서 자기의 분신을 키우는 계절이다.

그리고 저녁이 오면 화려한 꽃을 피우는 분꽃을 보면

초보 농군의 서툰 솜씨지만 여기저기 모여 있는 꽃들이 아름답다.

분꽃이 훌쩍 자라 각자 다른 색깔의 자태를 보여 준다

주변에 다른 풀을 자라지 못하게 하는 생명력이 강한 꽃이기도 하다.

식물에게도 여름 한낮의 짧은 휴식은 있을 것이다.

밤에 지친 몸의 원기를 회복하는 시간을 가질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런데 식물에게는 휴식이 없는 것처럼 보인다.

언젠가 자기의 분신을 보내야 할 제한된 자연의 시계에 맞추기 위해

의연하면서도 치열하게 제 몸을 태우는 것처럼 보인다.



휴식의 공간인 주말농장을 일터처럼

이삼일에 한번씩 가는 것이 습관처럼 되어버렸다.

자연이 더 생생하게 살아있는 시골의 녹색 풍경은

보는 것만으로도 시원스럽다.

거기에 새소리, 바람소리에 귀를 기우리고,

날마다 커가는 야생화와 텃밭을 보면서 우리도 더위를 먹는다.


커다란 바위 앞으로 고개를 치켜들고 솟아있는

벌개미취의 군무를 보느라면 가을이 가까워짐을 알 수 있다.

옥수수가 익어가는 시절, 고구마의 줄기는 흙을 덮을 기세로 뻗어간다.

조롱박이 하늘을 가리고, 밟히면 부서질 것 같은 채송화가

더위에도 지치지 않고 여린 꽃을 피우는 계절이다.


다람쥐 쳇바퀴 도는 일상에서 잠시 벗어나 내 인생의 시계를 보러 가자.

사는 데 허덕이다 보니 나를 돌아볼 틈이 없었다고 말하는 사람들,

법과 제도에 묶여 자신의 의지대로 살 수 없었다고 고개를 숙인 사람들은

더위를 먹으며 시골 길을 걸어볼 일이다.

가급적 고향의 길을 걸어본다면 더 많은 것을 느낄 수 있으리라.

감각적인 피서라면 도시의 시원한 에어컨보다 나은 것이 없고,

육신의 배를 채우는 일이라면 유명한 보양식을 따를 것이 별로 없을 것이다.

그러나 자연 속의 피서, 고향에서 먹는 수박 한 덩이만큼

심신의 피로를 풀어주는 것이 또 있으랴.


부용이 한창이다

인동초가 아직도 꽃망울을 토해내며 여름을 재촉하고

연못가로 노란 수련이 쉬지 않고 꽃대를 올린다

한낮의 열기가 숲으로 파고드는

여름은 더위를 먹는다

자연으로 돌아가자

더위를 느끼고 먹으러 가자.


하기야 가만히 앉아 있어도 날마다 열 받는 나라,

그래서 이런 나라에 사는 사람들에게 따로 더위 먹으러 가자고 한다면

오히려 화를 돋우는 소리이리라.

'사는이야기 > 귀촌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들깨수확  (0) 2010.10.18
잡초에게서 야성을 배우자  (0) 2010.09.24
귀농준비  (1) 2010.08.16
출입문  (0) 2010.08.16
물탱크  (0) 2010.08.15

귀농을 해봅시다

은퇴를 했으니 공기 좋고 인심 좋은 농촌으로 귀촌을 해봅시다.

살아갈 생활비는 년금으로 해결하기로 하고

텃밭 일궈 푸성귀 먹으면 생활비 적게 들고,

도시에 기웃거려봐야 알아주는 사람 없고,

우선 벌이가 없다면 시골 가는 것도 아주 좋은 방법입니다.

방법은 간단합니다.

1. 어디로 갈것인가를 결정해야 한다

그래서 여기저기 많이 돌아다녀보고, 현지주민의 이야기도 들어보고

그리고 어느 정도 결심이서면 우선 혼자서 먼저가 살아 본다

6개월 정도만 기러기생활을 해본다

2. 무엇을 할 것인가를 결정 한다

그리고 결정한 테마에 대하여 열심히 공부를 한다

최소한 3-4개월 정도 컴퓨터나 전문서적도 보면서

어느 정도 대충의 윤곽만은 알고서 귀농을 해야 한다

시골가면 몸이 고달파서 공부할 여유가 없다

이렇게 하면 그다음은 간단하다

마음비우고 귀농한 것이므로 햇볕 드는 따뜻한 방하나면 충분하다

크게 지은 벽돌집은 필요 없다

집에 딸린 마당구석에 뿌려놓은 씨앗에 싹이 트고 성장하는 과정을 보면

나름대로의 즐거움이 있고 그것이 행복이 아니겠습니까?

귀농을 해 보십시오

그러면 도회지에서 맛보지 못한 새로운 세계가 있으니까요.

하지만 건강만은 도회지 있을 때 챙겨 놓아야 합니다.

그리고 부인의 건강은 세심히 관찰해야 합니다.

지금까지의 생활패튼에서 탈피해야합니다

그리고 굳게다짐하고 한번 일을 저질러보면 그런대로 할만합니다.

동물 중에서 환경에 제일 적응을 잘하는 것이 사람이라 합니다.

힘내시고 결심을 하면 공정하게 장점과 단점을 생각하고

부인의 입장에서 한번 더 생각을 해 보십시오

그러면 문제없이 귀촌생활을 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사는이야기 > 귀촌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잡초에게서 야성을 배우자  (0) 2010.09.24
숲길  (0) 2010.09.19
출입문  (0) 2010.08.16
물탱크  (0) 2010.08.15
야생화2  (0) 2010.08.1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