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천 사진동호회 빛그림 6번째 회원전

20일까지 엔타 원스퀘어홀

▲ 최익화-All Flowers

춘천에서 활동하는 사진동호회 빛그림이 6번째 회원전을 마련했다.

빛그림은 오는 20일까지 춘천 엔타 원스퀘어홀에서 ‘빛의세계 전 - 광원의 시간’을 주제로 전시를 갖는다.

회원들이 전국 곳곳을 다니며 포착한 정겨운 풍경과 동식물, 자연에서 채집한 빛깔 등을 선보인다.

빛그림은 50~80세 사이 연령대의 회원 10명으로 구성된 사진동호회다.

2019년에 설립 이후 최익화 사진작가가 재능기부를 통해 이론과 현장교육 등을 이끌고 있다.

이번 전시에는 8명이 함께 한다

 

▲ 이진구-추억여행▲ 박명순-춤추는 Ballerina
▲ 옥기영-오방색의 꿈

'사는이야기 > 붓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진우 창검체 묵죽도  (0) 2024.04.23
한국 서예 지킨 ‘초정의 붓길’  (0) 2024.03.13
백담사 현판  (0) 2023.11.03
홍천 척야산  (0) 2023.06.22
안종중 작가 전시회  (0) 2023.04.06

‘서릿발 속 피어난 칼꽃’ 필법에 서린 구국의지

 
김진우 창검체 묵죽도

영월 출생 독립운동가·서화가
임시의정원 도 대표 의원 활동작품 2점 강원광복기념관 전시

 

 

◀ 이정동 전 강원도의원이 소장한 독립운동가 김진우 작품 ‘쌍청’(사진 왼쪽)과 ‘고수청풍’.
김진우 독립운동가의 항일의지가 담긴 작품으로 강원광복기념관 개관 전시에서 만날 수 있다.
 

대한민국임시정부 의정원 강원도 대표 의원으로 활동한 김진우 독립유공가(1883∼1950)의 친필 서화를 강원광복기념관 개관전에서 만날 수 있게 됐다. 원주 대곡고미술회 이정동(69) 회장이 소장품 김진우의 ‘고수청풍’ ‘쌍청’ 2점을 무상 임대하기로 하고, 최근중 광복회 강원특별자치도지부장과 만났다.

독립운동가이자 서화가로 유명한 김진우는 영월 후탄리 출생으로 류인석 휘하에서 항일의병으로 투신한 아버지 김준경을 따라 만주로 들어가 청소년기를 보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후 서울에서 서화상을 운영하던 중 3·1운동을 계기로 다시 중국 상하이로 건너가 지금의 국회의원 격인 임시의정원 의원으로 선출됐다. 1921년 국내 활동을 위해 들어오던 중 신의주에서 붙들려 징역 3년 형을 받아 옥고를 치렀다.

출옥 후 전문서화가로 항일 정신과 독립 의지를 담은 묵죽을 주로 그리며 작품으로 사회활동 및 교육기관 육성에 기여했다. 그림 제목으로 승병을 이끌었던 서산대사의 시를 쓰거나 단기를 사용하는 등 작품에 적극적으로 구국 의지를 드러냈다.

 

특히 강경하고 예리한 대나무는 금속제의 도검과 창날, 도끼, 능침 등 살상용 병장기에 비유돼 연구자 최완수는 ‘서릿발 속에서 피어난 칼꽃’으로, 최열은 ‘창검체’라는 독자 필법으로 규정했다.

강원광복기념관에 전시될 작품 크기는 가로 31㎝에 세로 130㎝이다. 김규선 선문대 교수는 호 ‘금강산인’을 쓰는 일주 김진우 작품으로 각기 ‘우뚝한 수(壽)에 청정한 기풍’ ‘쌍(난초와 대나무)을 이룬 청정’이라는 뜻의 화제로 여러 폭의 병풍 중 일부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제9대 강원도의회 의원을 역임한 이정동 회장은 “독립운동가의 항일정신을 담은 작품을 관람객과 같이 나눌 수 있게 돼 보람이 크다”라고 말했다. 수십 여 년간 사재를 들여 한 점 두 점 모은 소장품이 서화, 고문서, 도자, 민속품 등을 망라해 2000여 점에 달한다. 이정동 회장은 “소장품 전체를 지방자치단체에 희사해 박물관을 통해 시민들과 공유하는 것이 소망”이라고 밝혔다. 

'사는이야기 > 붓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빛그림 6번째 회원전  (3) 2024.09.22
한국 서예 지킨 ‘초정의 붓길’  (0) 2024.03.13
백담사 현판  (0) 2023.11.03
홍천 척야산  (0) 2023.06.22
안종중 작가 전시회  (0) 2023.04.06

한국 서예 지킨 ‘초정의 붓길’…중국·일본서도 추앙한 실력

 

초정(艸丁) 권창륜 선생. [사진 초정서예연구원]

 

한국 서단의 대가(大家) 초정 권창륜 선생이 지난 1월 27일 새벽에 작고했다.

오는 15일 선생을 영원히 떠나보내는 49재의 마지막 재를 봉은사에서 올린다.

 

선생은 한국 서단에서 어떤 위치에 있는 분일까?

마지막 재에 즈음하여, 지금 한국 서단이 해야 할 일을 직시하고

발전의 길을 찾기 위해 선생의 서예를 되돌아보기로 한다.

 

초정 선생은 광복 후 한국 서단의 1.5세대 서예가인 동시에 명불허전의 대가이다.

선생을 1.5세대라 칭하는 까닭은 나이와 이력 면에서 소전·검여·일중·강암·여초 등 1세대와

취묵헌·학정·하석·소헌·산민 등 2세대 사이에 자리하기 때문이다.

 

초정은 후배인 2세대들과 함께 1세대를 스승으로 모시는 한편, 2세대들을 이끄는 역할을 했다.

20세기 말인 1997, 1999, 2000년에 소암, 강암, 원곡 선생이 차례로 세상을 떠나고,

2006, 2007년에 일중, 여초 선생이 떠나면서 한국 서예 1세대의 시대가 마감됐다.

 

이후 초정은 1.5세대로서 한국 서단에 새로운 원로이자 ‘권위’로 자리하게 되었다.

국내는 물론 중국·일본·대만에서도 인정하는 진정한 대가였기 때문에

상응하는 권위가 자연스럽게 형성됐다.

‘유송암시(柳松庵詩, 2022)’. [사진 초정서예연구원]

 

1세대 서예가들이 활동하던 광복 후로부터 2000년대 새 밀레니엄 전까지는

우리나라 서예가 동아시아 한자문화권 전체 서예계에서 으뜸이었다.

 

중국은 공산주의 체제의 중화인민공화국을 수립한 후,

서예를 가장 부르주아적인 예술로 간주하여 핍박했고,

문화혁명 기간에는 사실상 서예를 말살 대상으로 여겼다.

 

일본은 유럽의 엥포르멜(Informel) 미술운동을 서예에 접목해

‘묵상(墨象)’이라는 이름의 전위서예를 실험하면서 한동안 전통서예를 소홀히 했다.

대만은 대륙에서 건너온 서예가들이 있긴 했지만,

대만 자체의 서예 전통이 상대적으로 약했다.

 

우리나라만 한글 전용이라는 어문정책과 붓 외에도 다양한 필기구가 개발된

필기 문화의 혁명, 컴퓨터 보급으로 인해 쓰는 행위 자체가 소멸해가는 악조건 속에서도

전통 서예를 견지했기 때문에 동아시아 1위가 될 수 있었다.

이 점은 광복 후, 한국 서단 1세대 서예가들이 이룬 큰 공로다.

 

초정은 천부의 자질과 끈질긴 노력을 겸비한 서예가였고,

그런 자질과 노력을 바탕으로 동아시아 1위를 지킨 1세대의 서예를 누구보다 정통으로 이어받았다.

이에 1세대 시대가 막을 내리며 자연스럽게 한국 최고이자 동아시아 최고의 대가 자리에 앉게 되었다.

 

‘난득호도(難得糊塗, 2010)’. ‘난득호도’란 ‘바보처럼 보이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라는 뜻이다.

운현궁 현판, 청와대 춘추문과 인수문 현판 글씨도 그가 썼다. [사진 초정서예연구원]

 

대가는 아무나 되는 게 아니다. 실력이 있어야 대가로 추앙받는다.

초정의 서예는 필획·결구·장법 등 서예 창작과 감상의 3대 요소를 다 충족하는 대가의 면모를 갖췄다.

 

추사 선생이 제시한 살아있는 필획에 대한 비유인

‘금시벽해’(金翅劈海, 전설상의 금시조가 바다를 가르듯 투철한 필획)와 ‘향상도하’(香象渡河,

물살이 센 강을 건너는 코끼리의 발걸음처럼 밀착도가 높은 필획)를 제대로 구현했다.

 

고금의 문자 결구를 면밀히 살피는 연구를 했고, 역대 명필의 장법을 열린 시각으로 고찰했다.

초정은 연마한 필획과 연구한 문자 결구와 고찰한 장법을

자신의 작품에 때로는 조심스럽게 때로는 과감하게 응용했다.

 

그러한 연구와 연마, 응용이 초정 서예의 실력으로 표출됐다.

구상하고 꾸미는 의도적 ‘표현’이 아니라, 안에서 차고 넘쳐 저절로 분출하는

‘표출’은 굳이 말 안 해도 대가의 권위로 드러난다.

 

대한민국 정부도 초정을 서예계의 가장 높은 위치에 있는 대가로 인정해

진정한 소통의 창구로 존중했고, 중국·일본·대만의 서예계도 초정을 최고봉의 서예가로 인정했다.

 

초정의 권위는 한국 서단의 ‘자존심’이었고, 서단을 감싸는 ‘수양산 그늘’이었다.

그런데 그 ‘자존심’과 ‘수양산 그늘’이 떠났다.

 

정부가 권위를 인정하던 소통의 창구가 사라졌고, 국제 서예계가 존중하던 대가의 붓이 멈췄다.

한국 서단이 범서단적으로초정의 작고를 애도하고

마지막 재에 즈음하여 함께 손을 모아 추모해야 하는 이유이다.

 

초정 선생 49재의 마지막 재를 마친 후, 행여 선생의 권위를 ‘내가 이어받아

행세를 해보겠다’는 섣부른 생각을 하는 사람이 있을까 염려된다.

 

권위는 아무나 갖는 게 아니다. ‘행세’에 앞서 실력을 갖춰야 권위가 생긴다.

실력은 권위를, 권위는 신뢰를 낳으며, 신뢰는 발전의 길을 열어간다.

 

갈수록 사회적 신뢰를 잃어가는 한국 서단의 중흥을 위해

이제 2세대 서예가들이 초정 선생을 떠나보내며 한국 서단의 현실을 직시하는 가운데

새로운 발전을 굳게 다짐해야 한다. ‘대가’ 초정 선생 명복을 빈다.

'사는이야기 > 붓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빛그림 6번째 회원전  (3) 2024.09.22
김진우 창검체 묵죽도  (0) 2024.04.23
백담사 현판  (0) 2023.11.03
홍천 척야산  (0) 2023.06.22
안종중 작가 전시회  (0) 2023.04.06

'사는이야기 > 붓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진우 창검체 묵죽도  (0) 2024.04.23
한국 서예 지킨 ‘초정의 붓길’  (0) 2024.03.13
홍천 척야산  (0) 2023.06.22
안종중 작가 전시회  (0) 2023.04.06
문화원 작품전  (0) 2022.12.0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