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늦으면 파국, 국립공원 케이블카 전면 백지화해야"
지리산사람들 등 단체, 10일 국정기획위 앞 기자회견...
"지리산 케이블카 추진 중단해야"
"더 늦으면 파국이다. 국립공원 케이블카 전면 백지화하라."
시민·활동가들이 국정기획위원회 앞에서 이같이 외쳤다. 지리산지키기연석회의, 지리산산악열차반대남원대책위, 지리산사람들, 지리산케이블카반대산청주민대책위, 전북환경운동연합, 설악산국립공원지키기국민행동, 케이블카반대설악권주민대책위, 한국환경회의가 10일 오전 서울 국정기획위 앞에서 기자회견을 연 것이다.
윤석열 정부 때 설악산 오색케이블카가 승인되었고, 경남도와 산청군은 지리산 케이블카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국립공원 안에 케이블카를 설치하려면 환경부 국립공원위원회에서 심의해 결정해야 한다.
이들은 '국립공원 케이블카 시범사업과 규제완화 중단', '지리산 국립공원 케이블카 전면 중단'을 요구했다.
윤석열 정부 때 환경부는 '국립공원 케이블카 시범사업 폐지'라는 규제 완화를 추진하고, 이는 아직 진행 중에 있다. 이에 대해 환경단체들은 "설악산케이블카를 통과시킨 윤석열 정권이 정권 말미에 지리산에 대한 난개발의 깃발을 꽂으려는 알박기이다"라고 했다.
이들은 "지리산이 뚫리면 다른 모든 국립공원에도 케이블카가 난립하는 사태가 벌어질 것이며 이는 환경부 스스로 보호지역에 대한 보호 의무를 저버리는 것"이라며 "국립공원 파괴행위를 중단하고 국립공원다운 보호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라고 했다.
정정환 지리산사람들 운영위원은 "지리산은 민족의 영산이며 국립공원 1호이다. 어머니의 산이라 불리기도 한다. 이런 산에 쇠말뚝을 박고 콘크리트로 4층 높이의 건물을 만들 수 있단 말이냐"라며 "이런 행위들은 윤석열 내란정권 들어서 더욱 노골화 되었다. 즉각 중단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지리산 케이블카에 대해, 이들은 "최소한의 안전장치였던 '케이블카 시범사업' 제도를 암암리에 폐지하려는 것은 국립공원 난개발의 빗장을 풀려는 윤석열 환경부의 '개발 알박기'이며, 과거 지리산 케이블카 추진의 대전제였던 '영호남 노선 단일화' 조건을 무력화시켜 3개 노선 난립을 부추기는 것"이라고 했다.
이들은 "결국 다른 지자체까지 경쟁적으로 사업에 뛰어들 명분을 만들어 주어, 민족의 영산 지리산을 케이블카 난개발의 제물로 삼으려는 파괴적 꼼수다"라고 했다.
지리산사람들 등 단체는 "국정기획위는 현재 진행 중인 국립공원 케이블카 관련 모든 행정 절차를 즉시 중단하고, 사회적 논의를 위한 '숙려기간'을 선포하라"라고 촉구했다.
국정기획위에 대해 이들은 "현재 환경부가 추진 중인 국립공원 케이블카 시범사업 폐지 시도를 백지화시켜라", "자연공원법에서 케이블카 설치 근거 조항을 완전히 삭제하여, 국립공원 난개발의 가능성을 원천 차단하라"고 요구했다.
그러면서 이들은 "국정기획위는 국립공원 보전 원칙수립을 전제로 국립공원과 지역사회가 공존할 수 있는 상생방안을 마련하라"라고 제시했다.
이들은 "국립공원 케이블카 논란은 새 정부 국정 철학의 시금석이다. 국정기획위는 더 이상 문제를 방치하지 말고 국가의 미래를 책임지는 자세로 전면에 나서야 한다"라며 "우리의 요구가 관철될 때까지 모든 시민사회 세력과 연대하여 총력 행동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지리산사람들 등 단체 대표들은 의견서를 국정기획위 관계자한테 전달했다. 참가자들은 마지막에 '줄(와이어)에 묶인 지리산과 설악산'에 반달가슴곰과 산양의 처절한 몸부림을 나타내는 상징의식을 선보였다.
"국립공원 케이블카 전면 백지화해야"

국립공원 케이블카 전면 백지화 요구 기자회견
환경단체들이 전국 국립공원 케이블카 전면 백지화 방안을 국정과제로 채택해야 한다고 촉구하고 나섰다.
지리산지키기연석회의, 설악산국립공원지키기국민행동, 한국환경회의 등은
10일 정부서울청사 창성별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같이 요구했다.
이들은 "설악산 오색케이블카 사업 추진 이후 전국 국립공원에서 케이블카가
동시다발로 추진되며 사회적 갈등이 이어지고 있다"며
"오색케이블카 사업은 정부 전환기를 틈타 환경영향평가 조건도 제대로 검토되지 않은 채 강행됐다"고 주장했다.
이어 "윤석열 정부의 정책은 국립공원 난개발 우려를 더욱 키우고 있다.
단일 노선으로 제한했던 지리산 케이블카 규제를 없애고 3개 노선을 모두 추진하도록
길을 열어주는 규제 완화 시도는 난개발 위험으로 내모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설악산 케이블카 사업비가 1천172억원을 넘어섰고
지리산 역시 경남 산청군 2천억원·전북 남원시 421억원·전남 구례군 710억원으로 추산되는 등
무조건 지역 경제 활성화를 기대하기도 어렵다고 주장했다.
환경단체들은 자연공원법 개정, 국립공원위원회 혁신,
국립공원 보전·상생 협력기금 법제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사는이야기 > 구암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성군 죽도 개발 중단해야 (2) | 2025.06.24 |
---|---|
기본사회, 시민사회 없이는 불가능하다 (2) | 2025.06.24 |
자유총연맹 지원 조례 "즉각 폐기" (1) | 2025.06.17 |
캠프페이지, 시민이 정하자 (1) | 2025.06.16 |
서울 강남보다 적은 강원도 의료장비 (1) | 2025.06.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