느티나무
우리나라 시골마을 입구에서 만나는 고목나무의 대부분은 느티나무다. 껑충하게 키만 키우기보다 옆으로 넓게 가지를 펼쳐 아늑한 공간을 만들어 주는 것이 느티나무의 특징이다.
우리의 세시(歲時)풍속을 보자. 설날에는 가족과 함께 조상을 모시는 제사를 올리고, 정월대보름에는 마을의 풍년과 안녕을 비는 공동행사가 이어진다. 느티나무는 따로 시설을 하지 않아도 나무 아래 자그마한 제단 하나만 놓으면 이런 당제(堂祭)를 올릴 수 있는 당산나무가 된다. 그래서 우리 선조들이 마을에 처음 정착을 시작할 때는 입구에 느티나무 한 그루를 먼저 심었다.
느티나무는 은행나무와 함께 오래 사는 나무로 유명하다. 아름드리 굵기라면 짧게는 조선왕조, 길게는 고려나 신라인과 삶을 같이해 온 역사를 간직한다. 몇백 년에서 때로는 천년이 훌쩍 넘어간다. 긴긴 세월 묵묵히 한 자리를 지켜온 탓에 백성들의 희로애락에서 나라의 큰일까지 온갖 사연을 다 꿰고 있다.
예를 들어 충북 괴산이란 지명도 느티나무와 관련이 있다. 신라 진평왕 때 찬덕이란 장수는 지금의 충북 괴산 근처에 있던 가잠성을 지키다가 백제군이 쳐들어와 성을 잃게 되자 그대로 달려나가 느티나무에 부딪쳐 죽었다. 이후 가잠성을 ‘느티나무 괴(槐)’자를 써 괴산이라 부르게 됐다고 전해진다. 또 경남 의령 세간리에는 임진왜란 때 의병대장 곽재우 장군이 북을 매달아 놓고 군사훈련을 시켰다는 ‘현고수(懸鼓樹)’란 느티나무가 있다. 자람 형태도 ‘ㄱ’자라 북 걸기에 안성맞춤이다.
우리가 자주 만나는 마을 앞의 펑퍼짐한 느티나무는 주위에 경쟁자가 없이 홀로일 때의 모습이다. 느티나무는 숲 속에서 다른 나무와 섞여 자라면 곧바르고 우람한 덩치가 된다. 키 20~30m에 둘레 두세 아름은 보통이다. 기둥감은 물론 불상과 같은 큰 조각품이나 여러 기구를 만들 수 있는 크기다. 아울러 느티나무 목재는 결이 곱고 윤기 나는 황갈색에 아름다운 무늬가 돋보인다. 썩고 벌레가 먹는 일이 적은 데다 건조 과정 중에 갈라지거나 비틀림이 잘 일어나지 않으며 단단하기까지 하다. 한마디로 나무가 갖추어야 할 모든 장점을 다 가지고 있는 셈이다.
당연히 느티나무는 우리나라와 중국 및 일본에 주로 자라는 ‘동양의 나무’로 사랑받을 뿐만 아니라 서양의 질 좋은 나무로 널리 알려진 마호가니(mahogany)나 월넛(walnut)에 전혀 밀리지 않는다. 그래서 필자는 느티나무를 두고 당당하게 ‘나무의 황제’라는 별명을 붙여주었다.
옛사람도 느티나무를 널리 이용했다. 경주 천마총을 비롯해 삼국 초기의 임금님 관재, 경북 영주 부석사의 무량수전과 경남 합천 해인사의 팔만대장경판 보관 건물인 법보전과 수다라장 등의 나무 기둥의 전부 혹은 일부도 느티나무다. 흔히 스님들이 자기 절의 대웅전 기둥이나 구시(큰 나무밥통)는 싸리나무로 만들었다는 주장을 심심찮게 듣는다. 고작 손가락 굵기 남짓이 자라는 싸리나무로는 가능한 쓰임이 아니다. 현미경으로 세포조사를 해보았더니 실제로는 거의 느티나무였다.
그 밖에 사방탁자·뒤주·장롱·궤짝 등 조선시대 가구까지 느티나무의 사용 범위는 헤아릴 수 없을 정도다. 그래서 2000년, 산림청에서는 새 천년을 맞아 우리나라의 번영과 발전을 상징하고 국민에게 희망과 용기를 줄 수 있는 ‘밀레니엄 나무’로 느티나무를 선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