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미줄

 

거미줄은 가늘지만 매우 튼튼하고 잘 늘어나며 내구성이 강하다.

비록 사람에게는 지나가다 걸리면 기분 나쁜 장애물 정도로 취급받지만

부피와 무게를 감안하면 탄력성이 상당히 괜찮은 수준이다.

 

사람이 지나가다가 거미줄에 걸리면 아무리 손으로 떼내려 해도

씻어내기 전까진 완전히 떼기 어려울 정도로 가늘고 질기며 잘 달라붙는다.

이런 거미줄이니 벌레들이 달라붙으면 당연히 쉽게 벗어날 수 없다.

 

 

 

 

거미줄을 하나 칠 때 거미는 1,000~1,500번이나

끈끈한 줄을 딛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면서 거미줄에 들러붙지 않는 비결은

무엇보다 발에 빽빽하게 난 가늘고 빳빳한 강한 털에 있다.

 

이 털은 점액과의 마찰 면적을 최소한으로 줄여

끈끈이가 다리에 묻는 것을 막아주는데,

기발하게도 털 중간에 가지가 나 있어 점액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한다.

 

 

 

 

거미는 포식성이며 주로 실그물에 걸린 곤충을 잡아먹는다.

34,000여종이 있는데, 사람에게 해로운 종은 검은독거미를 포함한 몇 종뿐이다.

한국산 거미류는 199012월 현재 모두 41533종이 알려져 있다.

 

 

 

 

거미류는 성체가 되기 전에 보통 7~8번 탈피하며

성장 중에 다리가 떨어져나가면 보통 다시 생긴다.

알은 주로 실주머니 안에 낳는데, 산란된 알은 보통 바로 깨어난다.

 

거미는 포식성이며 주로 곤충을 잡아먹는다.

모두 독샘을 가지고 있지만 몇 가지 종류만 사람에게 해롭다.

 

 

 

거미류의 주요 먹이인 곤충은 보통 실그물에 잡힌다.

어떤 종의 그물은 실이 끈적끈적한 물질로 된 작은 방울들에 싸여 있어

곤충이 도망치는 것을 막거나 지연시킨다.

 

 

 

 

 

게거미류는 꽃 속에서 먹이를 기다린다.

꼬마거미류는 거의 모든 방향으로 거미줄을 친다.

접시거미류는 보통 깔천 같은 수평그물을 만든다.

가게거미류는 깔때기 모양의 그물을 치고,

덫문거미류와 늑대거미류는 터널을 만든다.

어떤 것들은 잎으로 보금자리를 만든다.

 

 

 

 

 

 

 

 

 

 

 

 

 

 

 

 

 

 

 

 

 

 

 

 

 

'들꽃이야기 > 나비곤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옥색긴꼬리산누에나방  (1) 2018.05.14
호랑나비  (1) 2018.04.17
벌에 대한 주의점  (0) 2014.08.14
노린재  (0) 2014.07.31
광대노린재  (0) 2014.07.09

노랑상사화

 

키는 60정도 자라며 잎이 비늘줄기에 모여나지만

여름에 꽃이 나오기 전에 말라 죽는다. 꽃말은 "이룰 수 없는 사랑"

 

일본이 원산지이나 한국을 비롯한 전세계의 정원이나 화분에 심고 있으며

양지 바르고 배수가 잘되는 토양에서 잘 자란다.

 

꽃이 필 때는 잎이 없고, 잎이 달려 있을 때에는 꽃이 없어

꽃과 잎이 서로 그리워한 다는 의미로 상사화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전해진다.

 

남자가 죽어서 핀 꽃으로 어느 스님이 세속의 처녀를 사랑하여

가슴만 태우며 시름시름 앓다가 입적(入寂)한 후 그 자리에 피어났다는 설...

 

옛날 어떤 처녀가 수행하는 어느 스님을 사모하였지만

그 사랑을 전하지 못하고 시들시들 앓다가

눈을 감고 말았는데 어느 날 그 스님 방 앞에 이름 모를 꽃이 피자 사람들은

상사병으로 죽은 처녀의 넋이 꽃이 되었다는 설..

 

상사화와 관련된 전설이 대부분 스님과 관련되어서인지

사찰에 가면 상사화가 있는 곳이 많다.

 

그러나 실제 상사화를 절에서 많이 심는 이유는

인경(鱗莖)에서 전분을 추출하기 위해서였는데,

탱화를 그릴 때 상사화 꽃을 말려 물감을 만들고,

뿌리는 즙을 내어 칠을 하면, 좀이 슬지 않고 색도 변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에 있는 상사화의 종류는 상사화(분홍상사화), 백양꽃

진노랑상사화, 노랑상사화, 붉노랑상사화, 위도상사화(힌상사화),

제주상사화, 백양꽃(백양상사화), 석산(꽃무릇)등이다.

 

 

노랑상사화

 

 

 

 

 

 

 

 

붉노랑상사화

 

 

붉노랑상사화

 

'들꽃이야기 > 황색들꽃'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복수초  (0) 2018.03.29
농장의 복수초  (0) 2018.03.25
금불초  (0) 2017.07.16
날개하늘나리  (0) 2017.07.10
기린초  (0) 2017.06.22

곤줄박이(2)

 

농장에서 궁금해 지는게 하나 늘었다

도착하자마자 떠났는지 남아있는지부터 살핀다

 

우리가 농장에 가는 날은 이 녀석들은 종일 굶는 날이다

엄미가 주변을 맴돌지만 좀처럼 접근하지 않는다

 

신기한 일은 이녀석들도 종일토록 조용히 지내는 것이다

하두 조용해서 손으로 만졌더니 움적거리는게 여간 귀여운게 아니다

 

이제 며칠후면 떠나야 할 손님들이기에

천막안으로 폭우가 들이쳐도 지퍼를 내릴수 없는 불편은 잠시,

부디 평안히 지내기만 바라뿐...

 

'들꽃이야기 > 나무와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박쥐나무  (0) 2018.07.18
까치박달  (0) 2018.06.20
곤줄박이  (0) 2017.07.21
배나무꽃  (0) 2017.04.27
두릅  (0) 2017.04.24

 

한련화

 

키는 대략 30센티정도 되는 일년초.

독특한 꽃 모양과 아이비모양의 잎이 매우 아름다우며, 잘 퍼지는 습성을 갖고 있다.

 

잎이 마치 연꽃잎을 닮았다 하여 붙여진 이름 한련화.

잎만 보연 정말 연잎처럼 생겨서 물을 뿌리면 묻지않고 구슬처럼 또로록 굴러간다.

 

학명 Tropaeolum은 그리스어 ‘tropaion(트로피)’의 뜻으로 방패같은 잎과 투구 같은 꽃의 형태에서 유래.

높이는 60cm 정도, 길이는 1.5m로 자라는 덩굴성 1년초다.

꽃은 6~7월에 홍색, 주황색, 황색 등으로 핀다

 

철분, 비타민 C를 다량 함유하며, 잎과 꽃, 열매를 먹으면 강장, 혈액 정화, 소독 효과가 있다.

부순 종자나 잎을 습포제로 하면 찰과상 치료에 도움이 된다.

 

자연의 항생물질로 보통의 항생물질과는 달리 장내의 세균에 손상을 주지 않는다.

잎의 침출액은 기관지염이나 뇨(尿) 생식기의 감염증 치료에 사용한다.

 

적혈구의 형성을 촉진하기도 한다. 씨앗은 설사를 유발하기도 한다.

달인 액은 얼굴과 머리 제품에 사용한다.

꽃은 고농도의 린 산을 함유하므로 한 여름에는 섬광을 방출한다.

 

잎에는 비타민과 다량의 철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건강차로 즐긴다.

차는 감기에 좋고 소화를 촉진하며 강장, 혈액순환촉진, 살균 효과가 있다.

 

 

 

꽃중에서 먹을수 있는 꽃이 참 다양하다고 하지만 한련화처럼 잎과 꽃을 다먹는 종류는 더물다.

요즘 꽃 비빔밥을 파는 식당이 많은데 한련화는 그 대표적인 주인공이다.

잎은 톡쏘는 겨자맛이 나서 삼겹살을 싸서 쌈으로 먹으면 느끼한 맛도 덜하고 깔끔하다.

 

그리고 어린잎과 꽃은 주로 비빔밥을 해먹거나 샐러드를 해먹는데 맛은 약간 시큼한 맛이 난다.

녹색 열매는 강판에 갈아서 후추처럼 양념으로 사용해도 좋다

 

꽃 색깔은 노랑, 빨강, 주홍 세가지 색을 띄고 있다. 골고루 섞어서 심어도 잘자라고 이쁘다.

4~5월에 씨앗으로 파종으면 여름부터 가을까지 많은 꽃을 보여준다.

수시로 어린 잎이나 꽃을 따서 샐러드나 비빔밥에 이용하면 가지치기 효과로 더욱 풍성하고 많은 꽃과 잎을 보여준다.

 

키우기도 쉬워서 해가 잘 들고 물이 잘 빠지는 다소 건조한 화분이나 땅에 심으면 된다.

비타민C가 풍부해서 감기에도 효과적이고 소화촉진 살균효과 항균작용을 한다고 한다.

덩굴로 된 것도 있고 아닌것도 있지만 걸이 화분에 걸어서 창밖에 키우면 풍성하게 키울수 있다 

  

옛말에 한련화는 홀대를 해야 잘 큰다는 외국 속담이 있다. 토양이 말라있을때문 물을 주면된다 

마른 잎이나 진 꽃은 잘라주면 계속 계절내내 꽃을 볼 수 있다.

한련화 꽃과 잎은 서리 내리기전까지 계속 수확할 수 있다 

 

씨앗은 꽃이 지면 익어서 땅에 떨어지는데. 깨끗하게 종이 봉투에 보관하여

 서늘하고 어두운 곳에서 겨울을 나면 다음해 봄에 사용할 수 있다.

 

 

 

 



'들꽃이야기 > 적색들꽃'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울밑에 봉선화  (0) 2019.09.06
앵초  (0) 2018.04.28
휴체라  (0) 2017.07.01
앵초  (0) 2017.05.04
한련화  (0) 2017.04.2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