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꽃

 

사람들은 '연꽃'하면 불교를 상징하는 꽃으로 잘 알고 있다.

연꽃의 자태와 특성은 불교의 뜻을 잘 함축하고 있으며, 오묘한 불법을 펼치기도 한다.

 

진흙과 흙탕물에서 자라면서도 물에 젖지 않으며, 흙에 더럽혀지지 않은 채 아름다운 꽃을 피운다.

세월을 초월한 듯 청아함과 고결한 모습은 '꽃 중의 꽃'이라는 '화중군자'에도 손색이 없다.

 

부처님께서 영취산에서 대중을 모아놓고 설법을 하던 중 연꽃 한 송이를 들게 된다.

그런데 아무도 그 뜻을 깨닫지 못하고 있을 때, 가섭만이 홀로 미소 지었다고 한다.

부처님이 깨달음에 이른 진리를 말로 설명할 길이 없어, 연꽃을 들어 보인 것.

 

이에 가섭은 부처님이 깨달은 그 진리를, 똑같이 깨달았기에 엷은 미소로서 답할 수 있었다.

그래서 이를 '염화시중'의 미소라 하고, "마음과 마음이 통한다"'이심전심'이라고도 한다.

 

 

불교에서 보살이 수행해야 할 10가지 선행에 비유한 '연화십유(蓮華十喩)'를 옮겨 적으며,

나 자신의 어리석음을 잠시나마 깨달아 보고 싶다.

 

이제염오(離諸染汚) 더러움에 물들지 아니하고

불여악구(不與惡俱) 악함과 함께 있지 않으며

계향충만(戒香充滿) 청아한 향이 충만하고

본체청정(本體淸淨) 청정함을 잃지 않고

면상희이(面相熙怡) 그 모습을 보기만 해도 흐뭇하고

유연불삽(柔軟不澁) 그 맛이 부드럽고 떫지 않으며

견자개길(見者皆吉) 그 모습을 보는 것만으로도 길하며

개부구족(開敷具足) 꽃과 열매가 함께 하니 빠짐이 없으며

성숙청정(成熟淸淨) 성숙해서도 청정하고

생이유상(生已有想) 그 삶은 상념에 들게 한다

 

 

 

 

 

처렴상정(處染常淨), 화과동시(花果同時)의 연꽃

연꽃은 더 볼 것 없이 불교를 상징하는 꽃이다. 석가는 설법할 때에도 자주 연꽃의 비유를 들었다고 한다.

불자들이 영취산에 모였을 때[영산회상(靈山會上)] 석가는 말없이 곁의 연꽃 한 송이를 들어 대중에게 보였는데

제자 가운데 가섭만이 홀로 미소를 지었다.

이른바 염화시중(拈花示衆)의 미소요, 이심전심(以心傳心)의 묘법(妙法)’이다.

불가에서는 연꽃이 불교를 상징하는 꽃이 된 이유를 몇 가지로 들고 있다.

우선 연꽃의 처렴상정(處染常淨)’이다.

더러운 곳에 처해 있더라도 때 묻거나 물들지 않고 항상 깨끗하다는 뜻이다.

뿌리는 더러운 진흙탕에 내리고 있지만 더러움에 물들지 않고 맑고 깨끗한 꽃을 피우는 게 연꽃의 특성인 것이다.

이 특성을 불자가 세속에 처해 있어도 세상의 더러움에 물들지 않고

 오직 부처의 가르침을 받들어 아름다운 믿음의 꽃을 피우는 것과 빗댄 것이다.

 

또 이는 보살이 홀로 자신의 안락을 위하여 열반의 경지에 머물러 있지 않고

 중생의 구제를 위하여 온갖 죄업과 더러움이 있는 생사의 세계로 뛰어드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둘째는 연꽃의 화과동시(花果同時)’ 성질이다.

연꽃은 꽃이 핌과 동시에 열매가 그 속에 자리를 잡는다. 이를 연밥[연실(蓮實)]’이라 한다.

꽃은 열매를 맺기 위한 수단이며 열매의 원인이다.

이 꽃과 열매의 관계를 ()’()’의 관계라 할 수 있는데 인과의 도리는 곧 부처님의 가르침인 것이다.

불교의 연등(燃燈)에서도 연꽃 모양의 등을 가장 많이 쓴다.

이는 더러운 곳에서도 깨끗하게 피어나는 연꽃의 모습이

무명에 쌓여 있는 중생이 부처의 성품을 드러내어 부처가 되는 것을 상징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사는이야기 > 꽃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슬  (0) 2013.09.06
처서가 지나 농장에도 가을이 옵니다  (1) 2013.08.24
쇠비름  (0) 2013.07.28
곤드레  (0) 2013.07.28
7월에 피는 야생화  (0) 2013.07.1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