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꽃이야기/녹색들꽃
용담
삿갓나물
제비꽃
제비꽃(Violet)
우리나라에 약 50여종이 자생하고 있다. 잎의 생김새, 무늬, 꽃색 등이 매우 다양하며
타식율이 높아 잡종들이 많이 생긴다.
겨울나러 갔던 제비가 돌아오는 무렵에 꽃이 핀다고 제비꽃이라 부른다는 설과,
꽃의 모양과 빛깔이 제비를 닮아서 이름이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
오랑캐꽃이라는 이름의 유래에는 꽃이 필 무렵 오랑캐가 자주 쳐들어와서 붙었다는 설과
꽃의 생김이 오랑캐의 머리채를 닮아서 그렇게 부른다는 설이 있다.
흰제비꽃은 티없는 소박함을 나타내고 하늘색은 성모 마리아의 옷 색깔과 같으므로
성실·정절을 뜻하며 노란제비꽃은 농촌의 행복으로 표시하고 있다.
근근채, 반지꽃, 병아리꽃, 씨름꽃, 오랑캐꽃, 외나물꽃, 자화지정, 장수꽃이라고도 함.
앉은뱅이 꽃은 키가 작아 앉아있는 것 같다고 해서, 반지꽃은 꽃으로 반지를 만든대서,
장수꽃과 씨름꽃은 꽃 모양이 장수들이 씨름하는 것 같아서,
병아리꽃은 병아리처럼 귀여워서 각기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
꽃말은 나를 생각해 주세요, 순진한 사랑
봄철화단에서 제일 먼저 꽃을 보여주는 초화는 팬지다.
팬지의 조상은 바로 이 제비꽃과 같은 비올라(Viola)속이다. 팬지는 개량되어 나온 일년생이어서
화단에 심으면 꽃이 핀 다음 죽기 때문에 매년 다시 심어 주어야 한다.
하지만 제비꽃들은 다년생으로 자라기 때문에 한번 조성해 두면 반영구적으로 자라며
번식력도 뛰어나다. 번식은 포기나누기 또는 씨로 한다.
한방에서 뿌리째 캔 줄기를 정독초(靜毒草)라 하여 약으로 쓰는데
열을 내리고, 어혈을 풀어주며, 독을 없애고 염증을 가라앉히는 효능이 있다.
어린순은 나물로 먹고, 태독·유방염 등 부인병과 중풍·이질·설사·진통·인후염·황달·독사교상 등의 치료에 약재로 사용하며,
발육촉진제·간장기능촉진제로 쓰인다.
그리스도교 시대에는 장미·백합과 함께 성모께 바치게 되었는데
장미는 아름다움을 나타내고 백합은 위엄을 나타내며 제비꽃은 성실과 겸손을 나타낸다고 하였다.
옛날 아름다운 '이아'라는 소녀는 양치기 소년인 '아티스'를 사랑했다.
그러나 '아티스'를 귀여워하던 미의 여신 '비너스'는 그녀의 아들인 '큐피드'에게 두 개의 화살을 두 사람에게 각각 쏘도록 하였다.
'이아'에게는 영원히 사랑이 불붙는 황금 화살을, '아티스'에게는 사랑을 잊게 하는 납 화살을 쏘게 하여 이들 사이를 갈라놓게 하였다.
사랑의 화살을 맞은 '이아'는 못 견디게 보고 싶은 '아티스'를 보러 갔지만,
납 화살을 맞은 '아티스'는 '이아'를 쳐다보지도 않았다.
'이아'는 결국 비통한 나머지 울다 지쳐 죽고 말았다.
이것을 본 '비너스'는 안쓰러운 마음에 '이아'를 작고 가련한 꽃으로 만들어 주었는데
이 꽃이 바로 '제비꽃'이다.
고대 그리스인은 제비꽃을 사랑하고, 제비꽃으로 장식된 아테네를 많은 시인들이 노래하고 있다.
제비꽃에 얽힌 신화, 전설도 많으며, 미소년 아티스의 피(또는 이오의 숨결)에서 생겼다든지,
페르세포네가 명계의 왕 하데스에게 잡혀갔을 때 핀 꽃으로서 전해지고 있다.
고대 그리스에서는 제비꽃을 되살아나는 대지의 심벌로 한 것처럼, 독일에서는 봄의 사자라고 한다.
빈의 궁정에서는 3월에 도나우 강가에 처음으로 피는 제비꽃을 찾아서 거기에 인사하는 습관이 있었다.
16세기의 뉘른베르크의 시인 H. 잭스는 사육제 『나이트 하르트와 제비꽃』에 그것을 극화하고 있다. 독일에서 동유럽에 걸쳐서 퍼진 봄맞이 행사에도 제비꽃은 봄의 심벌로 등장한다. 제비꽃을 좋아하는 시인에는 핀다로스, 괴테, 하이네 등이 있다. 봄의 꽃 외에 제비꽃에는 가련한 소녀의 이미지가 강하다.
나폴레옹은 제비꽃을 무척 좋아하였는데 엘바섬에 유배되었을 때“제비꽃이 필 무렵 다시 돌아가겠다.”고 하였다. 나폴레옹은 젊었을 때‘제비꽃 소대장’으로 불릴 만큼 제비꽃을 사랑하여 동지를 확인하는 표식으로 사용하기도 하였다. 그의 아내인 조세핀도 나폴레옹처럼 제비꽃을 무척 좋아했지만 나폴레옹과의 이혼 후 한 번도 제비꽃을 쳐다보지도 않았다고 한다.
이른 봄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은 뒤에도 계속 성장하는 게 무슨 소용이 있을까.
꽃받침이나 꽃잎이 열리지 않은 채 자체적으로 꽃가루받이와 수정을 해서
씨앗을 만드는 게 폐쇄화란다.
건강한 후손을 보려면 다른 개체로부터 꽃가루를 받아들여 수정하는 게 바람직하지만
혼자서 끙끙거리며 씨앗을 만들어내는 데는 속사정이 있을 법도 하다.
폐쇄화는 제비꽃·괭이밥 같은 종류 외에도 다양한 식물에서 나타난다고 한다.
보통 건조하거나 온도가 낮을 때, 빛이 부족할 때 폐쇄화로 씨앗을 만드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폐쇄화는 식물이 악조건 속에서도 자손을 퍼뜨리기 위해 고안한 방법인 셈이다.
봄에 곤충을 불러들이는 개화수정(開花受精)으로 한 차례 씨앗을 만들어 퍼뜨렸는데도
제비꽃이 다시 폐화수정(閉花受精)에 나서는 걸 보면 여름·가을을 흘려보내기 아쉬운 모양이다.
봄에 다른 꽃보다 먼저 꽃을 피웠을 땐 곤충을 불러들이기 쉽지만
다들 화려한 꽃을 피우는 한여름에는 작은 제비꽃이
경쟁하기 어려운 점을 감안한 해결책이 폐쇄화일 수도 있겠다.
제비꽃이 번식을 위해 애쓰는 모습은 또 있다.
씨앗을 싸고 있는 꼬투리가 익으면 세 조각으로 벌어지고, 씨앗은 멀리 튕겨 나간다.
씨앗에는 ‘엘라이오솜’이란 게 붙어 있다. 단백질과 지방 덩어리다.
개미가 제비꽃 씨앗을 물어다가 개미 유충에게 주면, 유충은 엘라이오솜만 먹고 씨앗을 남긴다.
개미가 남은 씨앗을 개미집 밖에 내다버리면 씨앗은 멀리 퍼진다.
개미와 제비꽃은 이렇게 공생한다.
2011년 브라질에서는 제 스스로 씨앗을 땅에 심는 식물이 발견돼 화제가 됐다.
스피겔리아 제누플렉사란 이름의 이 식물은 키가 2.5㎝에 불과한데,
씨앗이 맺히면 가지를 조심스럽게 땅 위로 내려 부드러운 이끼 속에 씨앗을 묻어둔다.
무스카리
무스카리
학 명 Muscari armeniacum 영 명 Grape hyacinth
꽃 말 / 실망, 실의
백합과(百合科 Liliaceae)에 속하며 약 50종(種)의 다년생초로 이루어진 무스카리속(―屬 Muscari) 식물.
백합과의 알뿌리식물이다. 지구상에 30종이 있다.
지중해와 서아시아 지역의 중산간지나 숲 속에서 흔히 자란다.
원예종으로 보라색과 흰색종이 대표적이다.
작은 구근 식물인 무스카리의 어원은 그리스 단어의
『사향(moschos)』으로 꽃의 향기가 진하고 좋다 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키도 꽃줄기도 작은 꽃이지만 모아서 심었을 때의 청 자줏빛은
다른 식물에서는 볼 수 없는 아름다움이 있다.
◑ 지중해지방이 원산지이며 작은 비늘줄기를 지니고 있다.
잎이 없는 꽃줄기 끝에 파란색, 흰색, 또는 분홍색을 띠는
항아리처럼 생긴 꽃들이 빽빽하게 무리지어 핀다.
잎은 길고 가늘며 열매는 삭과(蒴果)이다.
몇 종은 사향 비슷한 냄새를 풍기며, 봄의 관상식물로 뜰에 심기도 한다.
한국에는 자주색 꽃이 피는 무스카리(M. armeniacum),
흰색 꽃이 피는 흰꽃무스카리(M. botryoides), 연한 자주색 또는 남보라색 꽃이 피는
플루모숨무스카리(M. comosum var. plumosum) 등이 수입되어 있다.
◑ 4∼5월, 잎 사이에서 나온 꽃대에 공 모양의 하늘색 또는 보라색의 작은 꽃들이
다닥다닥 붙어 핀다. 피어있는 모양이 마치 작은 포도송이처럼 생겨 귀엽다.
분화용으로 생산되기도 하지만 봄에 꽃을 보는 화단이나 정원용으로 더 많이 쓰인다.
꽃 모양이 특이하고 수명도 며칠은 가기 때문에 절화용으로도 쓰인다.
◑ 내한성이 강해 중부이남지역에서는 흔히 바깥에서 잘 자란다.
꽃 색은 청색과 백색이 주류를 이룬다. 꽃이 피었을 때 키는 30cm 가량이며,
땅 속에 있는 흰 달걀 모양의 비늘줄기에서 3∼4개의 좁은 잎이 나온다.
물이 잘 빠지고 거름기가 많으며 햇볕이 충분히 드는 곳을 좋아한다.
씨앗으로도 번식하지만 기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포기나누기로 늘려가는 것이 보통이다.
포기나누기는 이 식물의 휴면기인 여름철이나 초가을에 한다.
◑ 3∼5월에 피는 작은 포도송이를 거꾸로 한 것 같은 작은 꽃은
드문 화형으로 추위에 강하고 재배가 쉽기 때문에 초보자라도 충분히 꽃을 피울 수 있다.
높이는 10~25cm 정도로 낮고, 꽃 색이 선명하여 튤립 등
키가 높은 식물등과 장식하거나 모아심어 조화시키면 신비한 분위기를 연출 할 수 있다.
개화를 위한 구근의 규격은 아르메니아쿰종은 구근의 둘레가 6cm이상,
보트리오이데스종은 5cm이상, 코모슘종은 6cm이상이다.
구근은 6월에 수확하며, 꽃눈은 저장중인 7,8월에 분화하며 이때의 적온은 20℃이다.
꽃눈 분화 후 9℃에 적어도 12주는 경과하여야 개화한다.
종자로 부터 개화에 이르기까지 4-5년이 소요되고, 자구(offset)는 1-2년이 소요된다.
구근의 내부에는 휴면기가 없으므로 수확 후 구근을 주의하여 다루어야 한다.
특히 수확한 구근을 씻거나 뿌리가 내렸을 때는 주의를 요한다.
구근을 저장할 때는 저장고내에 에칠렌의 피해를 받지 않도록
채소나 과일 등과 같이 저장해서는 안 된다. 에칠렌 피해를 받으면 이듬해 꽃이 피지 못한다.
구근의 저장온도는 18-20℃이고 저온처리온도는 8-9℃이다.
생육 및 개화를 위한 적온은 13-16℃이다.
토양은 배수가 잘되는 지역이면 토질을 가리지 않는 편이다
◑ 기르는 방법
토양은 배수가 잘 되는 사질 토양이 좋고, 화분에서는 밭 흙과 부엽토, 모래를 섞어서 재배한다.
해가 잘 들고 반그늘인 곳에 10월에 심는다.
무스카리는 내한성이 강하므로 우리나라에서는 어느 지역이든 월동이 가능하다.
심는 간격은 5~10cm로하고 깊이는 화단이나 정원에 심을 경우에는
알뿌리 크기의 3배정도가 적당하고, 화분에 심을 경우에는
알뿌리가 파묻힐 정도로 얇게 심는다. 밀식하는 기분으로 심는 것이 요령이다.
◑ 물은 표면이 말라서 원래 흙색보다 희거나 갈라진 상태가 되면 즉시 물을 충분히 주어야한다.
지상부가 휴면에 들어갔을 때는 건조하게 관리하는 것이 좋다.
비료는 심을 때 밑거름으로 부엽토나 퇴비를 섞어주면 좋고,
웃거름으로 액비를 일주일에 한번 정도 주면 2~3년 정도는 심어둔 채로 잘 자란다.
반그늘에서 잘 자란다.
◑ 심고 난 후 관리만 잘 된다면 2~3년 동안은 매년 꽃이 피지만
계속해서 건강한 구근을 만들고 싶다면 시든 꽃은 잘라내고
장마철에 잎이 상하지 않게 잘 관리하여 땅 속.의 구근을 굵게 키운다.
6월 상순 ~ 중순쯤에 구근을 캐내어 물로 씻어
밴레이트(1000배액 30분)나 락스 같은 살균제에 담가 소독한 뒤 서늘한 곳에 보관한다.
가을에 다시 심으면 이듬해 아름다운 꽃을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