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꽃이야기/녹색들꽃
시계초
누운주름잎
덩굴꽃마리
덩굴꽃마리
지치과에 속하는 2년생초.
물망초꽃과 너무도 흡사하게 피어난 덩굴 마리입니다.
덩굴 꽃마리와 물망초 꽃이 왜 서로 닮았는지 알고보니
둘 다 지치과에 속하는 여러살이 풀이군요.
꼭 닮은 꽃이지만 물망초는 화단에서 대접 받는 화초로 살아가고,
덩굴 꽃마리는 잡초로 취급되는 슬픈(?) 현실입니다.
꽃이 필 때 태엽처럼 둘둘 말려 있던 꽃들이 펴지면서 밑에서부터 1송이씩 피기 때문에,
즉 꽃이 둘둘 말려 있다고 해서 식물 이름을 '꽃마리' 또는 '꽃말이'로 붙였다고 한다.
키는 10~30㎝ 정도이며, 줄기 밑에서부터 가지가 갈라져
한군데에서 많은 개체들이 모여 난 것처럼 보이고 식물 전체에 짧은 털이 잔뜩 나 있습니다.
꽃은 4~5월에 연한 하늘색으로 피는데 지름이 2㎜ 정도로 아주 작습니다.
봄에 어린순을 캐서 나물로 쓰기도 합니다.
유사종으로
덩굴꽃마리(T. icumae)는 곧추서지 않고 옆으로 기면서 자라고, 가운데 노란색이 있다,
좀꽃마리(T. coreana)는 꽃의 지름이 6~8㎜로 꽃마리보다 크며,
참꽃마리(T. nakaii)는 꽃이 잎겨드랑이에서 1송이씩 피는 점이 다르다. 꽃이 크고가운데 노란색이 있다,
꽃바지(꽃받이) - 꽃이 작다 2~3mm, 가운데 하얀테두리가 있다,
꽃이 끝에 하나 둘씩 잎 윗쪽으로만 핀다 (말리지 않는다)
노루발풀
노루발풀(Winter green)
노루발은 노루발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이자 중부지방에선 흔치 않은 상록 풀입니다.
흔적만 남은 꽃은 이미 한여름에 핀 것입니다.
한 뼘쯤 꽃대가 올라오고 10개 남짓한 흰꽃이 차례로 피어납니다.
암술이 길게 뻗어 나온 모습은 아름답기도 하고 재미있기도 해서
노루발의 전체적인 모습을 귀엽고 친근감 넘치게 만들어줍니다.
보통 한번 만나면 근처에서 몇 포기씩을 함께 보는데,
이는 가는 줄기들이 땅속에서 이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전국의 산기슭나무 밑이나 그늘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소나무 숲에서 자랄 수 있는 몇 안 되는 종류 중의 하나다.
유럽, 아시아, 북아메리카에 10여종이 분포하고 우리나라에는 6종이 자생하고 있다.
동글납작한 이파리와 그 위에 그려진 잎맥이 노루발자국을 닮았다고 하여
노루발풀이란 이름이 붙여졌다고 한다.
아마도 한 겨울에 눈 위에 찍힌 노루의 발자국과 눈 속에 펼쳐진
이 풀의 잎 모양이 비슷하여 노루발풀이란 이름이 붙여진 게 아닌가 싶다.
꽃말은 ‘소녀의 기도’
잎은 1~8개로 밑부분에 모여 난다. 들이나 숲속의 응달에서 살며 여름에 흰색 꽃이 핀다.
그 생긴 특성에 따라 녹제초(鹿蹄草), 겨울철에 늘 푸르다 하여 동록(冬綠),
겨울철에 사슴이 뜯는다 하여 사슴풀이라고도 불린다.
뿌리줄기가 옆으로 뻗으면서 새순이 나온다. 5~6월에 뭉쳐난 잎들 사이에서
꽃자루가 길게 나와 5~12송이의 꽃이 피며 꽃자루의 길이는 20㎝ 정도이다.
꽃은 하얀색으로 땅을 보며 피는데, 암술이 길게 나와 끝이 위로 젖혀져 있다.
겨울에도 초록색 잎이 달려 있고 그늘진 곳에서도 잘 자라므로 나무 밑에 심으면 좋다.
잎 모양이 좋아 소형 분화용으로도 좋다.
녹제초(鹿蹄草) 또는 녹수초(鹿壽草)라는 생약명으로 약재로 이용된다.
아스피린의 원료인 살리신산이 들어있어 상처소독에 좋다.
자료에 의하면 꽃이 필 때 풀 전체를 채취하여 그늘에 말려 약용한다.
항균, 지혈, 진통 등의 약리작용으로 염증성 질환 예방과 치료에 유용하게 쓰인다.
중국에서는 옛날에 생리조절이나 피임(避妊)약으로 쓰였다고 한다.
민간요법으로는 칼에 베인 상처나 뱀에 물렸을 때, 독충에 쏘였을 때
상처 부위에 잎을 찧어 낸 즙을 바르면 효과가 있었다.
폐병이나 늑막염에 말린 잎을 달여 마셨고, 각기에도 달인 즙을 마시면 효과가 있다.
이 풀에 전하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한 부인이 사냥꾼을 피해 도망쳐온 노루를 치마폭에 넣어 숨겨주었고,
이후 아파서 사경을 헤맬 때 그 노루가 물고 온 풀을 먹고 살아났다는 내용입니다.
노루발이란 이름은 노루가 가져다 놓고 가서 붙은 것이라고도 하고,
가녀린 꽃대가 노루발과 같다고 해서 그리 부른다고도 합니다.
비슷한 식물로
홀꽃노루발(Moneses uniflora)은 백두산에서 자라고 꽃이 줄기 끝에 1송이만 달리며,
매화노루발(Chimaphila japonica)은 중부 이북지방에서 자라고
꽃줄기 끝에 1송이씩 피나 때때로 2송이도 달리며 잎끝과 잎밑이 뾰족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