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천지역먹거리 통합지원센터가 설립된 지 4년이 다 되는데도 뒷말이 많다.
지원센터는 춘천에서 나고 자란 지역 농산물의 판로를 넓히고,
학교 급식의 건강한 먹거리를 확보해 공급하는 시 산하기관으로 2019년 9월 출범했다.
센터가 내세운 취지처럼 먹거리는 ‘우리의 몸과 마음의
건강을 책임지는 근본’이라는 점에서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먹거리를 안전하게 안심하고 즐길 수 있도록 안정적으로 조달하는 일이 센터의 목적일 것이다.
68개 초·중·고 학생들뿐 아니라 시민들도 예외일 수 없다.
춘천 모든 시민을 위한 센터인 까닭에서다.
문제는 출범 초기 밀어붙이기식 행정의 여파가 지금껏 계속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센터가 본격 가동되자 학교에 식자재를 납품하던 기존 유통업자들은 졸지에 일자리를 잃었다.
더군다나 센터의 거듭된 요청에 무허가 상태에서 식자재 운송 차량을 몰다
식품운반업법 위반 혐의로 고발돼 영업정지와 과태료 처분까지 받았다.
센터 업무에 연루돼 범법자로 낙인찍힌 셈이다.
“시에서 하는 일인데 무엇이 문제냐”라는 센터의 독촉을 거부하지 못한 대가치고는 가혹하다.
한데 농산물 유통업자들에 대한 춘천시의 대응은 어설프다.
해당 유통업자들은 MS투데이에 “멀쩡했던 일자리도 뺏기고 전과자가 됐다”,
“돈 들여 고용해 일을 가르쳐 놓은 직원을 춘천시에게 고스란히 빼앗겼다”라고 털어놓았다.
하소연은 절망적이다. 춘천시에 면담을 요구했지만, 가타부타 답변조차 듣지 못했다고 한다.
육동한 현 시장 체제에서도 미온적이기는 별반 다르지 않다.
시는 적절한 해법을 찾지 못하더라도 유통업자들의 주장을 들어볼 필요가 있다.
그렇지 않으면 전임 시장의 정책이라며 기피하는 모습으로 비칠 수 있어서다.
시장은 바뀌어도 유통업자들은 그때나 지금이나 춘천 시민이다.
센터에서 취급하는 지역먹거리는 지난해 기준으로 33%에 불과하다.
농업인들의 소득을 높이는 데다 시민들에게 안전한 먹거리를 제공하겠다는 약속과는 멀다.
판매처 확장도 마찬가지다. 게다가 식자재를 구매하는 학교 측으로부터 받는
중개료 격인 수수료 6%를 둘러싼 원성도 만만찮다.
센터가 출범하기 전에 없었던 학교의 비용으로 결국 납품 단가가 그만큼 인상된 것과 같기 때문이다.
육 시장과 보은 인사 논란을 빚은 강청룡 센터 이사장이 해야 할 일은 명확하다.
문제가 된 상황을 바로 잡고, 미흡한 부분을 개선하는 것이다.
센터를 정상 궤도에 올려놓기 위해서다.
춘천시는 ‘언제나 시민과 함께하는 행정’이 설득과 이해,
대화와 타협의 토대에서 출발하지 않으면 엇나갈 수밖에 없다는 사실을 잊지 않기 바란다.
'사는이야기 > 구암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형 산불 조장한 산림청 (1) | 2023.05.16 |
---|---|
학폭의 해법을 묻는다 (0) | 2023.05.16 |
춘천 먹거리센터의 폐단 (0) | 2023.05.04 |
공공기관 지방 이전 실효성 논란 (0) | 2023.05.01 |
전국에 농약 묻은 송홧가루 날린다 (0) | 2023.04.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