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가 정화 대상지역조차 파악 못 했다면 더 큰 부실”

춘천 캠프페이지 부실정화 파문 확산

<강원일보>

춘춘천시민사회단체 네트워크 “국방부·농어촌공사가 책임져야”
허영 당선자 “재발방지 위한 철저한 진상규명·책임자 처벌 필요”
춘천시 “유류성분 분석 오염원인 파악”…국방부와 비용협의 착수


법정 기준치의 6배가 넘는 오염도를 보인 춘천 캠프페이지의 토양분석 결과가 공개되자 시민사회 및 환경단체가 국방부에 부실 정화에 대한 책임을 촉구하고 나섰다. 허영 국회의원 당선자는 진상 규명과 함께 책임자 처벌까지 이어져야 한다는 강경한 입장을 표명했다.

춘천 경실련 등 12개 단체가 참여한 춘천시민사회단체 네트워크는 19일 `캠프페이지 부실정화 사태, 국방부와 농어촌공사가 책임져라'라는 제목의 공동성명을 통해 “철저한 통제와 불투명한 사업 진행으로 부실 정화 상황을 은폐한 책임은 국방부에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향후 재정화 과정에서 시민단체가 구성한 대표단이 참여해 오염제거 방법 등을 모니터링할 수 있게 해 달라고 요구했다.

특히 이달 초 토양오염 정화를 위한 시료 채취에 들어간 원주 반환미군기지(캠프롱)를 비롯한 전국의 미군 공여지 관련 대책위와 연대해 완벽하고 안전한 상태로 시민의 품으로 돌아오도록 끝까지 감시의 눈을 떼지 않을 것이라고 천명했다. 오동철 춘천시민사회단체 네트워크 운영위원장은 “이번에 밝혀진 오염구역이 정화 대상 지역이 아니었다는 주장은 터무니없다”며 “애초에 정화 대상을 파악하지 못한 것이 더 큰 부실”이라고 비판했다.

국가호수정원을 제1호 공약으로 내세운 허영(춘천갑) 당선자는 “재발 방지를 위해 철저한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는 내용의 긴급 입장문을 냈다.

반환미군기지의 오염실태를 알리는데 앞장서 온 녹색연합은 `예견됐던 일'이라고 판단했다. 서재철 녹색연합 전문위원은 “상시적인 모니터링 절차가 없으면 반드시 이런 일이 일어난다”며 “복원검증단의 상설화가 왜 필요한지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건”이라고 강조했다.

전면적인 재조사 입장을 밝힌 춘천시는 토양 오염의 원인 분석과 향후 재조사 및 재정화 비용부담 등을 놓고 국방부 측과의 협의에 들어갔다.

춘천시 관계자는 “토양에 혼합된 유류의 성분을 신속히 분석해 최대한 빠르게 원인을 파악하겠다”며 “현재로서는 춘천시가 책임질 가능성은 낮다고 본다”고 말했다.

 

 

춘천 캠프페이지서 유기성 폐기물·건설자재 매립 흔적 파문

 

문화재 발굴터 10여곳 빗물 흡수 안된채 썩어…부패·부유물도
전문가들 “기름 영향 가능성…나무 심으면 고사위험 매우 커”
지표면 1.5m 아래 헬기 계류장 아스콘포장재도 잇따라 나와

10여년 전 국방부 정화 과정서 매립 추정 모래주머니도 발견

기준치 이상의 기름 성분이 발견된 춘천 캠프페이지에서 이번에는 각종 유기성 폐기물과 건설자재도 매립된 흔적이 드러나는 등 부실 정화 파문이 끊이지 않고 있다.

지난 31일 정화 완료 8년 만에 오염토양이 발견된 봄내체육관(구 캠프페이지 격납고) 인근 문화재 발굴터(트렌치) 10여곳에는 물이 땅에 흡수되지 못한 채 고여 있었다. 이는 총 50여곳의 발굴터 가운데 토양층에 기름이 남아 있는 경우 최근 내린 빗물이 흡수되지 못하고 고여 있을 가능성이 높다는 게 전문가의 분석이다.

더욱이 이 중에는 각종 분뇨와 산업폐수, 생활하수 등이 부패할 때 나타나는 고동색 색상과 부유물 등을 보인 곳도 있다는 주장도 제기돼 기름 유출뿐만 아니라 유기성 폐기물 불법 매립에 대한 조사도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국내 토양오염 연구 권위자인 김휘중 (주)에아가이아 대표는 이날 구 캠프페이지 현장을 둘러본 후 “현재 문제가 되고 있는 장소에서 나타나는 현상들은 기름은 물론 각종 폐기물이 남아 있는 경우로도 볼 수 있다”고 전제하고 “만약 그렇다면 이러한 상태에서 공원을 만들어 나무를 심을 경우 100% 고사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밝혔다.

실제로 일부 발굴터 내부에서는 정화 과정에서 모두 걷어냈을 것으로 예상됐던 과거 헬기 계류장의 아스콘포장재가 발견되기도 했다. 봄내체육관에서 춘천역 방면으로 180여m 떨어진 곳의 발굴터 곳곳에는 약 1.5m 깊이의 벽면에 아스콘으로 보이는 검은색 띠가 있었고, 인근에는 실제 발굴 과정에서 뜯어낸 듯한 아스콘이 쌓여 있었다. 이는 계류장 부지를 정화하지 않은 채 그대로 흙을 덮어 처리한 것이라는 방증이어서 부실정화 의혹이 더욱 커지고 있다. 또 다른 발굴터 속에서는 2009~2012년 국방부의 정화 과정에서 매립했을 것으로 보이는 건설현장의 모래주머니가 그대로 묻혀 있기도 했다.

현장을 방문했던 서재철 녹색연합 전문위원은 “도시 한복판에서 일어난 부실 정화 문제에 대해 기초자치단체인 춘천시뿐만 아니라 광역자치단체인 강원도의 관심도 매우 중요하다”면서 “녹색연합은 춘천시민사회단체네트워크와의 연대 활동을 통해 국방부 등에 정확한 실태조사와 책임을 요구해 나갈 방침”이라고 했다.

 

 

환경·시민단체 '춘천 캠프페이지 부실정화' 반발 잇따라

 

/이상학 기자

녹색연합 "캠프페이지 문화재 발굴 현장서 폐아스콘 발견"

강원 춘천시 옛 미군기지인 캠프페이지 부지에서 토양오염이 확인된 것과 관련해 환경단체와 시민단체의 반발이 이어지고 있다.

춘천 캠프페이지 부지서 발견된 폐아스콘

(춘천=연합뉴스) 이상학 기자 = 1일 강원 춘천시 옛 미군기지터인 캠프페이지 부지에서 폐아스콘을 녹색연합 관계자가 가리키고 있다. 2020.6.1 hak@yna.co.kr

녹색연합은 1일 옛 캠프페이지에서 "토양 오염에 이어 폐아스콘이 발견되는 등 반환기지의 총체적 부실 정화가 드러났다"고 밝혔다.

앞서 춘천시는 캠프페이지 부지에서 문화재 발굴작업 중 토양에서 기름띠와 기름층을 발견했다.

광고

이에 시는 이곳의 토양분석을 의뢰해 오염물질 석유계총탄화수소(TPH) 수치가 기준치의 최고 6배를 초과한 3천83mg/kg로 나타나자 전수조사를 추진 중이다.

이날 현장을 찾은 서재철 녹색연합 전문의원은 "과거 활주로 아스콘으로 추정하지만, 일각에서 복원공사 과정에서 가설하는 아스콘이라는 의견도 있는데 결국 이들 모두 부실하게 이뤄진 것"이라며 "춘천 캠프페이지를 비롯해 전국의 나머지 (미군)기지들도 정밀검사가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춘천 캠프페이지 폐기물 현장 확인

(춘천=연합뉴스) 이상학 기자 = 1일 강원 춘천시 옛 미군기지 터인 캠프페이지 부지에서 폐아스콘이 발견돼 녹색연합 관계자 등이 설명을 하고 있다. 2020.6.1 hak@yna.co.kr

 

김휘중 토양 및 퇴적물 환경복원 연구소장도 "불투수층에 대한 조사와 함께 오염확산의 주요 요인인 지하수계가 어떻게 이동하는지에 대한 조사도 반드시 이뤄져야 한다"고 조언했다.

녹색연합은 이날 발표한 성명을 통해 "캠프페이지는 과거 미군이 비행장으로 사용하던 곳으로 대부분 부지가 아스콘으로 포장된 활주로"라며 "아스콘은 토양 복원을 위해서는 반드시 제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때문에 춘천시가 최근 이곳에 모두 150억원을 들여 나무를 심기 위한 사업도 재조사 등으로 연기될 가능성이 커졌다.

또 녹색연합은 "지난해 12월 반환받은 부평·원주·동두천의 4개 미군기지의 정화비용은 정부 추산 무려 1천140억원으로 국민의 세금으로 정화할 수밖에 없다"며 "시민의 안전과 건강이 최우선으로 돼야 해 오염의 정도, 정화 공법과 과정, 사후 모니터링 등 관련된 모든 정보가 공개해야 한다"고 말했다.

춘천 캠프페이지에 발견된 폐아스콘

(춘천=연합뉴스) 이상학 기자 = 1일 강원 춘천시 옛 미군기지 터인 캠프페이지 부지에서 폐아스콘이 발견돼 녹색연합 관계자가 기자설명회를 하고 있다. 2020.6.1 hak@yna.co.kr

춘천시민사회단체네트워크도 이날 성명을 통해 "지난 2005년 환경부 국정감사 결과에서 당시 반환미군기지 15개 중 캠프페이지의 유류 오염도가 가장 높게 나왔다"며 "캠프페이지에는 96개의 유류 저장탱크가 있었다"고 밝혔다.

이들은 "지난 2011년 오염정화작업이 이뤄진 곳이 전체 부지의 8% 정도로, 50년을 사용한 부지의 오염정화 기간이 1∼2년으로 짧은 기간 이루어져 완벽한 정화가 이루어졌다고 보기 힘들다"며 의혹을 제기했다.

이번에 기름이 유출된 곳은 정화작업 이후 검증 조사를 위해 시료 채취를 한 곳에서 불과 몇m 떨어지지 않은 곳으로, 비오염 지역에서 나왔다는 것이다.

이들은 캠프페이지 문제 해결을 위해 '범시민대책위원회'를 제안하는 한편 정화작업의 책임자였던 국방부에서 확인하고 해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네트워크 관계자는 "정화사업 추진 당시 관련 전문가와 시민환경단체의 의견이 배제돼 검증할 수 있는 장치가 차단, 전 과정에 걸쳐 의혹이 많은 만큼 전면 재조사를 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춘천 한복판 옛 캠프페이지 부지

[연합뉴스 자료사진]

춘천 캠프페이지는 지난 2007년 미군으로부터 반환받은 뒤 국방부가 토양오염정화를 한국농어촌공사에 위탁해 이뤄졌다.

'사는이야기 > 구암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춘천시, 새마을운동중앙회 생명살림운동 협약  (0) 2020.05.29
대암산 용늪 탐방  (0) 2020.05.22
춘천 캠프페이지 오염  (0) 2020.05.07
춘고 앞 오피스텔 건설반대  (0) 2020.04.27
사라진 蝟島  (0) 2020.04.2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