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천 캠프페이지 오염 전면 재조사하라”

/강원일보

부실정화 논란 확산…춘천시 시료 채취해 분석 나서
환경정화 주체인 국방부·한국농어촌公 8일 합동감식
공사측 “주민피해 없도록 할것”… 시민단체 “강력대응”


속보=반환 미군기지인 춘천시 근화동 구 캠프페이지의 부실 정화 논란(본보 지난 6일자 1·5면 보도)이 확산되고 있다. 춘천시와 국방부, 한국농어촌공사 등 관련 기관들은 당혹감 속에 현장 검증 등을 벌였고, 시민단체들은 캠프페이지 정화작업에 대한 전면적 재조사를 주장하고 나섰다.

춘천시는 6일 미군부대 환경정화 부실 의혹과 관련, 긴급 브리핑을 열고 현장검증을 통한 오염도 측정을 실시, 2주 이내에 결과를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춘천시는 이날 오전 기름띠와 기름층이 발견된 발굴터의 시료를 임시 채취해 도보건환경연구원에 최대한 빠른 시간 내에 오염도 측정 결과가 나올 수 있도록 조치를 의뢰했다. 춘천시 관계자는 “미군부대 주둔 시절 유류저장탱크 인근인 데다 일부 발굴터에서 실제 기름으로 보이는 띠와 검은 토양층이 발견된 만큼 최대한 신속하게 오염도 측정 절차를 밟았다”고 밝혔다.

미군부대 환경정화작업 주체인 국방부와 용역을 맡았던 한국농어촌공사도 8일 합동감식을 통한 정밀조사를 벌이기로 했다. 현재 상황에서 오염도 측정 결과가 기준치를 넘어설 경우 책임은 당시 정화작업을 맡았던 국방부와 한국농어촌공사가 떠안게 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 춘천시의 판단이다. 관련 법(토양환경보전법 10조의 4)상에 오염이 이뤄진 당시의 소유자나 점유자, 운영자에게 정화 책임이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춘천시는 2012년과 2013년 두 차례에 걸쳐 새로운 오염 토양이 발견되는 경우 국방부가 책임을 져야한다는 점을 공문으로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성재 춘천시 문화도시국장은 “현장을 확인한 결과 냄새나 기름띠가 있는 것을 확인했으며 시료 채취를 통한 오염도 측정 결과를 토대로 대책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한국농어촌공사 측도 후속 조치 책임을 인정하고 있다. 한국농어촌공사 환경지질부 관계자는 “오염 정화가 모두 끝났다고 생각한 지역에서 갑자기 기름층이 나타나 당황스럽긴 하지만 추후에라도 주민 피해가 없도록 최선을 다해 복원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춘천지역 시민단체들은 캠프페이지 환경정화사업에 대한 전면 재조사를 요구했다. 2009년부터 실시된 정화작업 당시 국방부와 농어촌공사측외에 사업 검증이 이뤄지지 않았다는 것이 그 이유다. 이들은 관련기관들의 조사 결과를 본 후 대책이 미흡할 경우 강경 대응에 나설 방침이다. 1951년부터 2005년까지 미군이 주둔한 춘천 캠프페이지는 토양과 지하수, 방사능 오염 문제가 강하게 제기돼 온 곳이다. 반환 직후 조사에서는 정화 대상 36곳에서 TPH와 BTEX 기준치를 초과하기도 했다.

이후 국방부는 2009년부터 2011년 말까지 농어촌공사에 용역을 의뢰해 5만6,000㎡의 캠프페이지 부지에서 환경오염 정화작업을 벌였다. 실제 투입된 예산은 195억원이다.

가장 넓은 오염구간 중 일부 확인…정화·검증 누락 의문 제기

춘천 캠프페이지 부실정화 논란

40곳 정화 검증 굴착지 중 가장 광범위 평소 20배 넘는 시료 채취
당시엔 토양오염우려 기준 '적합'…9년 뒤 기름 혼합 토양층 발견
시 "유류저장탱크 있던 곳…오염도 수시 측정 방안 검토 중"



땅속에서 기름띠가 무더기로 발견돼 부실정화 논란을 겪고 있는 춘천 캠프페이지의 일부 지역은 2009~2011년 정화 및 검증 당시 시료 채취 등이 꼼꼼하게 이뤄지지 못한 구간이었음이 확인됐다. 작업팀이 오염 구간에 대한 원활한 조사를 위해 획정했던 구간 중 가장 넓은 곳이었기 때문이다.

12일 춘천시가 공개한 `반환미군기지 환경오염정화사업 정화검증 보고서(캠프페이지)'에 따르면 부지 내 옛 격납고(현 봄내체육관) 인근의 약 8,000㎡ 안팎이 오염토 정화작업지였다. 총 40곳의 정화 검증 굴착지 가운데 가장 넓다.

이에 따라 당시 정화검증을 맡았던 (재)자연환경연구소와 울산과학대학 종합환경분석센터 컨소시엄은 다른 굴착지의 최대 20배가 넘는 46점의 시료를 채취해 검증했다. 최종 결과는 모두 토양오염우려 기준을 넘어서지 않아 `적합'으로 판정났다. 석유계총탄화수소(TPH)는 기준치인 500㎎/㎏ 미만, 벤젠·톨루엔·에틸벤젠·크실렌(BTEX)은 80㎎/㎏ 미만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정화 후 되메우기(복토)까지 완료했음에도 불구하고 이곳에서 9년이나 지난 뒤 기름이 혼합된 토양층이 발견된 것을 놓고 정화 또는 검증 단계에서 누락된 곳이 아니냐는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당시 정화작업에 활용됐던 저온열탈착공법과 토양경작법 등으로 오염 성분을 기화한 후 복토하는 경우 기름층이 잔존하기가 어렵다는 것이 업계의 일반적인 판단이다. 일각에서는 당시 다른 지점의 유류 오염토가 수년간에 걸쳐 지하수 등과 함께 이동했을 가능성도 제기하고 있다.

춘천시 관계자는 “해당 지역은 유류저장탱크가 있던 곳이어서 기름이 가장 많이 유출됐을 가능성이 높은 것은 사실”이라며 “향후에는 문화재 발굴과 시료 채취를 동시에 하면서 오염도 측정도 수시로 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한편 지난 6일 춘천시가 도보건환경연구원에 의뢰한 오염 의심 토양 시료 분석 결과는 오는 20일 전에 나올 전망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