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칭개
지칭개는 길가의 풀밭이나 하천 주변에서 자라는 국화과의 두해살이 풀꽃으로
제주도를 비롯해서 우리나라 전역에 골고루 퍼져 있습니다.
키가 큰 것은 어른의 가슴 높이까지 올라오는 것도 있고 줄기는 곧게 자라는 편이며 가지가 갈라지기도 합니다.
뿌리에서 올라온 잎은 긴 타원형을 하고 있지만 둥그렇게 돌려나서 전체적으로 보면 방석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잎은 깃 모양으로 많이 갈라지고 뒷면에는 하얀색 털이 많은 것도 시선을 끕니다.
그리고 줄기에도 비교적 길쭉한 작은 잎들이 위쪽까지 계속해서 달립니다.
꽃은 제주에서는 빠르면 4월부터 피기 시작하여 7월까지 볼 수 있는데 연한 분홍색 꽃이 가지 끝이나 줄기 끝에 위를 향해 달립니다.
지칭개는 겨울철 뿌리에서 나온 잎만 보면 냉이와 구별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하지만 냉이는 독특한 냄새가 있고 잎 뒷면을 보면 지칭개는 털이 많아 쉽게 구분할 수가 있습니다.
이른 봄 냉잇국을 생각하는 사람들은 참고할 만하겠습니다.
그리고 꽃은 엉겅퀴와 비슷해 보이기도 하고 어떻게 보면 뻐꾹채나 분취 등 분취속 식물과 닮아 보이기도 합니다.
그러나 지칭개는 잎에 가시가 없는 것이 엉겅퀴와 다르고
꽃을 받치고 있는 총포 조각에 부속체가 있어 그것이 없는 분취속 식물과 구별됩니다.
지칭개라는 이름의 유래에 대해 여러 가지 이야기가 있습니다.
우선 지칭개는 상처 난 곳에 잎과 뿌리를 짓찧어 사용되고 으깨어 바르는 풀이라는 의미로 붙여졌다는 것입니다.
'짓찐개'인데 지칭개로 변했다는 이야기입니다.
또한 물이 흐르는 곳에 자라는 물칭개나물에 견주어 땅에 자란다는 의미로 지칭개라는 이름이 붙었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또 한 가지는 지칭개가 쓴맛이 나기 때문에 국을 끓이려고
여러 번 우려내다 먹기도 전에 지쳐버려 '지칭개'가 되었다는 다소 과장된 이야기도 있습니다.
하지만 모두 근거 없이 떠도는 이야기일 뿐 확실한 것은 없습니다.
학명은 Hemistepa lyrata인데 속명 Hemistepa는 희랍어 '반(半)이라는 뜻의 Hemi와
'관(冠)이 있는'이라는 뜻의 stepa의 합성어로 '관모가 두 줄이지만 바깥의 것이 1/2로 매우 짧은'이라는 뜻이 있습니다.
종소명 lyrata에는 '머리가 크고 깃 모양으로 갈라진'이라는 뜻이 있는 것으로 보아
잎의 제일 윗조각이 가장 크고 전체적으로 깃 모양으로 생긴 잎 때문에 붙여진 듯합니다.
지칭개도 예전에는 나물로 먹기도 했는데 잎도 크고 뿌리도 커서 몇 개체만 캐도 푸짐했습니다.
맛이 쓰기 때문에 물에 담가서 우려내면 봄철 된장국의 재료로 그만한 것도 없었습니다.
또한 성질이 차서 열을 내리고 독기를 없애며 뭉친 것을 풀어준다고 합니다.
그래서 민간에서는 잎과 뿌리를 찧어서 상처가 났을 때나 골절을 당했을 때 아픈 부위에 붙였습니다.
한방에서는 이호채(泥胡菜)라 하여 잎과 뿌리를 약재로 썼습니다.
여름과 가을철에 채취하여 깨끗이 씻어서 햇볕에 잘 말렸다가 물에 달여 먹으면 몸속의 피를 맑게 하고 독을 풀어준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