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 궤적 사진 찍기

 

/교원사진연구회 임희중

 

인터넷을 보고 찍어보았습니다. 그리고  그 결과를 기초로 적었습니다.

필자의 카메라는 니콘D810입니실제로 찍어보시면 조금씩 달라질 수 있습니다.

 

1. 시기 공기와 일기가 맑고 건조한 날 초저녁부터

2. 장소 북극성이 보이고 탁 트이며주위가 어둡고 도시의 가로등이나,

 자동차 라이트 등의 방해가 없는 지역

3. 시간 기본적으로 1시간에서 4시간그 이상이면 더 좋음.

4. 기본 도구 삼각대광각렌즈휴대용 라이트핫백이 있으면 더 좋음

 

5. 기본 조작

  촬영 화상 확인 off,

  사진품질(필수) JPEG FINE L사이즈,

  화이트배런스 색온도선택 4000k,

  장시간 노출 노이즈 감소 off,

  . ISO감도설정 400~800으로 고정 찍으면서 조절 가능,

  거리 무한대로 고정하고초점MF모드로 전환,

  렌즈VR기능이 있으면 off,

 

6. 촬영모드

  M모드, F8~11, S30,

 

.캐논의 경우 : 바디에 인터벌 기능이 없기 때문에 연사 모드를 이용해 촬영이 가능합니다.

  1) 드라이브 모드 연속촬영 설정(H  L)

  2) 릴리즈 락(홀드)

     의외로 인터벌 기능이 없는 캐논이 편하게 설정하실 수 있습니다.

     (솔직히 캐논으로 조작해보지 않았다인터넷만 믿고…….)

 

) 니콘의 경우 인터벌 촬영 노출 인터벌 33(S30+3) 

인터벌 촬영 횟수 200 x 인터벌당 촬영 컷수1 = 촬영 컷수 200, 

노출 스무싱 on, 촬영 시작

 

*** 니콘 캐논 전부 장노출 및 인터벌 촬영시 주의사항 ***

 

  1) 항상 배터리는 풀 충전하시고 여분도 챙기세요.

  2) 메모리 역시 장노출 별궤적시 비워오세요 여분도 챙기시고

  3) 삼각대는 무거워도 가지고 계신장비중 제일 큰사이즈를 권장합니다.

  4) 그리고 야간 촬영이기 때문에 랜턴은 필수입니다.

(스마트폰으로 대체 가능하나 그래도 랜턴 챙기세요)

     촬영이 시작되면 몇시간 기다리셔야 하기에 간단한 다과나 간식거리

(약간의 알코올도 좋음챙기시면 좋습니다.

 

7. 실제 촬영은 니콘의 경우 인터벌 촬영 시작을캐논의 경우 연사를 시작하시고

시각을 체크한 이후는 마칠 때까지 일체 만지지 않아야 합니다.

한컷에 33초이므로 끝날 시각을 정확히 아는 게 관리하기 좋습니다.

 

*** 한컷에 1분을 촬영할 경우(해보진 않았지만***

카메라 B셔터 설정 

촬영시간 1분 설정

인터벌간격 1 3초 설정

촬영장수는 100~200장 설정

스타트 버튼 누르면 자동 촬영됩니다.

 

캐논 별궤적촬영방법 참고

http://blog.daum.net/sunbeamlee/6029180

 

8. 별궤적 합성 프로그램 startrails version2.3을 깔아보세요.

http://www.startrails.de/Startrails.zip

 

9. 사용방법 참조 별궤적을 촬영 후 실제로 한번 해봅시다.

blog.naver.com/astron99/150101032793   Venus' belt

 

10. 기타.

별궤적 합성할 소스 사진을 미리 준비해 둡니다.

합성 대상 사진 만들기는 별도의 이야기입니다.

 

너무 밝거나 어둡지 않게하늘의 별 궤적과 어울려야 되지 않겠습니까?

하늘과 장면이 구별 될 수 있어야만 한답니다하늘이 너무 어두우면 선택하기 어렵답니다.

하늘을 제외한 사진의 예를 보여드립니다하늘을 세밀히 선택하여 깨끗이 지웠답니다

 

가. 미내다리의 경우는 참 쉽습니다. 

 

 

미내다리 소스사진*

 

 

 

소스사진과 별궤적 사진을 모두 photoshop의 한 화면에 불러 옵니다

이때 이미지 크기를 비교하여다르면 같게 해 줍니다.

방법은 상단메뉴의 이미지/이미지크기/아래에 비율제한을 클릭이되게하고/맨위의 폭만 같게하여 줍니다

 

 

 

별궤적사진

 

 

 

 

 

소스파일

 

그리고하얗게 된 하늘 부분을 클릭하고 / 윗줄 메뉴에서 선택을 클릭하여 / 

반전을 선택합니다. / 그러면 하늘을 제외한 애래 부분이 선택됩니다 ./

그후 편집메뉴를 클릭 / 복사를 선택합니다.

 

그리고 별궤적 사진으로 옮겨가서 아랫부분으로 내려가

붙이기(Ctrl+V)를 하면 끝입니다.

   

 

 

완성된 미내다리 사진

 

 

 

 

   

 

 

포룡정의 경우

하늘과 수면도 깨끗이 지워서 준비합니다.

 

포룡정 소스 사진

 

 

 

 

 

포룡정 소스파일

 

 

 

 

 

. 1) 별궤적사진 photoshop으로 부른 다음 메뉴의 이미지 

캔버스크기 아홉 개의 사각형이 나오는데위의 중앙을 클릭하고 

높이의 값을 1/4쯤 올려주고 확인한다. (사진의 아래 부분에 하얀 부분이 생깁니다)

 

 

완성된 별궤적사진

 

 

 

     

2) 수면 반사부분(위에서 만든 하얀 부분)을 만들기 위해

도구상자 두 번째의 사각형 선택 윤곽 도구 선택 위의 페더 값은 0이어야함 

별궤적 사진 아래 부분을 하얀 부분 만큼 선택 편집 복사한 다음 

메뉴의 파일 새로만들기(Ctrl + N)  확인 붙이기(Ctrl+v) / 

이미지 조정 명도대비에서 명도를 낮추어 어둡게 한 후 

이미지 이미지회전 캔버스 세로로 뒤집기 사진 전체를 선택 

편집 복사하여 별궤적사진으로 돌아와 아랫부분에 붙인다. / 

이때 미세조정은 Ctrl+방향키로 조정합니다.

 

그리고 포룡정 소스파일 전체를 복사하여 붙이기 

이때 수면 경계선과 별궤적 이은 선을 일치시킵니다.

리고 필요한 부분 만큼 사진을 잘라 저장을 하면 끝입니다.

 

 

완성된 포룡정 사진

 

 

 

 

 

-------------------------------------------------------

 

 

별의 점상사진

 

언젠가부터 별 사진을 찍고 싶었다.

풍경은 고정되어있고 별이 극축을 따라 돌아가는 모습 말고,

그 자리에서 빛나는 별의 모습을 찍고 싶었다.

통상 전자를 '별의 궤적사진'이라고 하고 후자를 '별의 점상사진'이라고 한다.

 

궤적 사진은 생각보다 어렵지 않다.

맑고 깜깜한(달이 없는) , 적당한 장소를 찾아서 몇 시간 동안 셔터를 열어놓기만 하면 된다.

수백 장을 자동으로 찍어서 합성해야 하는 디지털보다도 오히려 수월한 면이 있을 정도이다.

 

물론 한 장의 필름에 모든 시간의 흐름을 담아내기에,

잡광이나 순간의 흔들림도 용납할 수 없는 어려움이 있지만

튼튼한 삼각대와 사람이 오가지 않는 장소만 확보한다면 크게 문제 될 것이 없다.

 

그런데 점상사진은 다르다.

위의 조건들을 갖추는 것은 기본이고 별의 움직임에 따라(사실은 지구의 움직임)

카메라를 같은 속도, 반대의 방향으로 움직여주는 장비가 필요하다.

 

고감도를 지원하는 디지털 센서를 사용하면 그런 장비 없이도 원하는 사진을 담을 수 있지만,

중형 컬러 필름을 기준으로 현재 사용할 수 있는 가장 높은 감도의 필름은 K사의 감도 800짜리 필름이다.

 

이 필름으로 별자리를 깔끔하게 담으려면 적어도 5분 정도의 노출이 필요하다.

조리개를 좀 더 조이고 찍으면 시간이 더 필요하고,

성운과 성단까지 담으려면 15분 정도는 셔터를 열어놓아야 가능할 것 같다.

그래서 '휴대용 간의 적도의'라는 장비를 들였다.

 

밤새 별을 찍기에 좋은 조건을 갖춘 곳. 사방의 시야가 터져있고,

높고, 목적지까지 차로 갈 수 있어야 한다. 필름 장비의 특성상 매우 무겁고,

 

밤샘 촬영을 하려면 비박짐도 싸야 하는데 얼추 그 무게가 30kg 정도 나간다.

이 짐을 메고 정상으로 올라 촬영을 하기란 여간 힘든 일이 아니기에,

차량의 접근성이 좋아야 한다.

 

곧바로 적도의를 설치하고 극축을 맞춘 뒤 묵직한 중형필름카메라를 마운트(장착)한다.

오리온자리 (67ii/Portra160)휴대용 적도의에 마운트하여 5분간 노출한다.

적도의가 지구의 자전 반대방향으로 카메라를 돌려주기 때문에 별이 흐르지 않는다.

'사는이야기 > 구암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도 요금을 국비지원해야  (0) 2017.11.24
올림픽 때문에 토종닭 처분한다  (0) 2017.11.23
노거수의 가을  (0) 2017.11.22
춘천 열병합발전소 준공  (3) 2017.11.21
천아트전  (0) 2017.11.2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