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나무 에이즈’ 한반도 급속 잠식…
한국 소나무, 3년 내 멸종 위기론
국민일보·전문가, ‘방제 부실’ 긴급 현장점검
이대로 가다간 일본처럼 소나무 멸종 사태가 닥쳐올 판이다.
하지만 재선충을 차단하는 방제 작업은 허점투성이다. 기초적인 매뉴얼조차 무시되고 있다.
소나무는 우리 산림의 37%를 차지한다.
소나무가 사라지면 문화재 하나를 복원하려 해도 목재를 수입해야 하고 산사태 같은 재난도 우려된다.
수천년을 지탱해온 우리 문화의 일부를 잃게 된다.
국민일보는 지난 4∼6일 재선충 전문가와 함께 경북 경주·포항과 경남 창원의 재선충 방제 현장을 점검했다.
경주와 포항은 재선충 ‘극심’ 지역, 창원은 ‘심각’ 지역으로 분류된 곳이다.
“체계적인 방제로 2017년까지 재선충을 박멸하겠다”는 산림청 공언과 달리 방제 현장은 총체적 부실을 노출하고 있었다.
포항과 경주의 주요 도로변에는 훈증 처리된 ‘소나무묘’가 즐비했다.
재선충 방제법의 하나인 훈증은 죽은 소나무를 조각내 약품을 뿌린 뒤 방수포로 덮는 작업이다.
그러나 도로변에서 이 작업을 해선 안 된다. 재선충에 감염된 소나무는 파쇄·소각하는 게 원칙이다.
훈증은 깊은 산속 등 수거가 불가능한 경우에만 제한적으로 하도록 규정돼 있다.
훈증으로는 완전 방제가 쉽지 않은 데다 도로변은 다른 지역으로 전파될 위험이 크기 때문이다.
산림청의 재선충 방제 매뉴얼인 ‘2015년 산림병해충 예찰·방제 계획’을 보면
“도로에서 50m 이내의 재선충병 소나무는 전량 수집해 파쇄해야 한다”고 명시돼 있다.
재선충병은 치료제가 없다. 방제 작업의 핵심은 ‘죽은 소나무 처리’다.
그런데 이 작업이 주먹구구로 이뤄지고 있다.
심지어 소나무묘가 찢어진 채 방치된 곳도 있었다.
덮어놓은 방수포가 훼손되거나 비를 맞아 소나무묘 주변 흙이 쓸려내려가면 훈증은 무용지물이 된다.
어설프게 훈증 처리하면 재선충을 퍼뜨리는 숙주 노릇을 할 수도 있다.
방제 작업이 진행되고 있는 지역의 주민들은 재선충에 감염돼 죽은 소나무로 보이는 목재를 땔감으로 활용하고 있었다.
재선충 발생 지역 내 소나무 이동을 금지하는 ‘소나무재선충병방제특별법’ 위반이지만
방제 당국은 “어르신들이라서” “민원이 많아서”라며 손을 놓고 있다.
야산에는 훈증 처리조차 안 된 죽은 소나무들이 방치돼 있었다.
매뉴얼에는 직경 2.5㎝ 이내의 소나무 잔가지까지 처리하도록 돼 있지만 지켜지지 않고 있다.
비가 오면 쓸려내려갈 위험이 큰 계곡에 훈증된 소나무묘가 들어차 있는 곳도 있었다.
동행한 재선충 전문가는 “방제의 ABC도 모르는 사람들이 작업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산림청과 지방자치단체는 “예산·인력이 부족해 어쩔 수 없다”고 했다.
재선충병은 치사율이 100%다.
지난해 급격하게 확산되면서 3년 안에 전국 소나무가 멸종될 수 있다는 암울한 전망까지 나온다.
산림 전문가들은 22일 “현재의 방제 시스템으로는 소나무 멸종을 막기 어렵다.
일본과 같은 사태가 빚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일본은 1902년 ‘재선충 재앙’이 시작됐다. 재선충의 존재를 1970년대에야 확인했고 현재는 방제 포기 상태다.
'사는이야기 > 구암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환경영향평가 7등급 판정의 꼼수 (0) | 2015.02.27 |
---|---|
축제는 짧고 빛잔치는 길다 (0) | 2015.02.24 |
설악산 국립공원 케이블카 설치 논란 (0) | 2015.02.17 |
중도개발사업 시민공청회 제안 (0) | 2015.02.16 |
남한강 '물값' 논란 (0) | 2015.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