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 멸종 속도 1000배 빨라져..'6번째 대멸종' 위험 직면
사이언스 게재 '멸종' 논문
미국 듀크대 핌 교수팀 연구 결과
매년 100만종 가운데 100종 멸종
인간 출현하기 전의 1000배 수치
기록도 되기 전에 사라진 종 많아
대멸종 여부는 인간 행동에 달려
모리셔스의 '도도', 아이티의 '너배사 록 이구아나', 코스타리카의 '골든 토드'(금두꺼비).
이들의 공통점은 이제는 지구에 존재하지 않는 생물들이라는 것이다.
모두 인간에 의해 멸종됐다는 운명도 같다.
박근혜 대통령이 최근 공공기관의 방만한 경영을 비유하는 데 불려나오기도 한 새
도도는 이들 중 가장 먼저(17세기) 멸종됐다. 인간의 무분별한 사냥 탓이다.
너배사 록 이구아나는 사람들이 서식지 주변에 염소와 고양이 등을 풀어놓자 19세기 중반 이후 멸종됐고,
골든 토드는 서식지 환경오염 등으로 1989년 이후 자취를 감췄다.
생물다양성에 가장 큰 위협이 되고 있다.
지구의 생물들한테 다가온 멸종 위협이 어느 정도인지는 국제자연보전연맹(IUCN)이
야생생물종의 멸종 위험 정도를 평가한 '적색목록'(Red List)을 통해 엿볼 수 있다.
적색목록은 세균류를 제외한 지구의 생물 기록종 190만여종 가운데
포유류·조류·어류·파충류·양서류·절지동물·식물 등 7만1576종의 상황을 평가한 것이다.
이 가운데 14.7%인 1만549종을 높은 멸종 위협을 받고 있는 '취약종',
9%인 6451종을 매우 높은 멸종 위기에 놓인 '위기종',
6%인 4286종을 극히 높은 멸종 위기에 있는 '위급종'으로 분류했다.
이미 '멸종'됐거나 '야생에서 멸종' 상태로 판정된 종도 11%인 800종에 이른다.
분류군별로 보면 양서류의 41%, 파충류의 39%, 포유류와
어류의 23%, 조류의 13%가 멸종 위협에 처한 것으로 평가됐다.
이런 상황에서 지난달 30일 유명 과학저널인 <사이언스>에 지구의 생물종 멸종이
이런 상황에서 지난달 30일 유명 과학저널인 <사이언스>에 지구의 생물종 멸종이
지금까지 추정한 것보다 훨씬 대규모로 이뤄지고 있음을 시사하는 연구 결과가 실렸다.
학계와 생물다양성 보호운동 단체들의 눈길이 쏠렸음은 물론이다.
미국 듀크대의 생물학자인 스튜어트 핌 교수가 이끈 국제 연구팀은
미국 듀크대의 생물학자인 스튜어트 핌 교수가 이끈 국제 연구팀은
생물종 멸종이 인간이 지구에 나타나기 이전에 비해 1000배가량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런 멸종 속도는 이제까지 과학자들이 예상한 속도보다 10배나 빠르다.
핌 교수는 연구 결과 발표 뒤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우리는 여섯번째 대멸종에 직면해 있다"며
"그것을 피할 수 있을지는 우리의 행동에 달려 있다"고 말했다.
다섯번째 대멸종은 6600만년 전에 있었다.
이때 공룡을 비롯한 당시 생물종의 75%가 지구에서 사라졌다.
연구팀은 생물종 수가 불확실하고 멸종 위험이 평가된 종도 기록된 종의 극히 일부에 불과한 점을 고려해
연구팀은 생물종 수가 불확실하고 멸종 위험이 평가된 종도 기록된 종의 극히 일부에 불과한 점을 고려해
멸종 추세 분석에 '멸종률'이라는 개념을 적용했다.
멸종률은 100만종년당 멸종수(extinctions per million species-years·E/MSY)를 뜻한다.
이렇게 계산한 1900년 이후 현재까지 조류의 멸종률은 132E/MSY(100만종 가운데 매년 132종)이다.
1900년 이후 멸종 판정을 받은 조류는 기록된 1230종 가운데 13종이다.
이 조류 멸종 종수인 13을 조류 1230종이 각각 처음 기록된 이후
지금까지 경과한 햇수의 누계인 9만8334종년(평균 경과연도 80년)으로 나눈 뒤,
100만을 곱해 멸종률을 계산한 것이다.
이런 방식으로 계산한 생물종의 평균 멸종률은 100E/MSY(100만종 가운데 매년 100종)였다.
이런 방식으로 계산한 생물종의 평균 멸종률은 100E/MSY(100만종 가운데 매년 100종)였다.
이는 인간이 지구에 출현하기 전의 배경 멸종률 0.1E/MSY(100만종 가운데 매년 0.1종)보다 1000배나 높은 수치다.
기록종보다 훨씬 많으리라 추정되는 미기록종을 고려하면
기록종보다 훨씬 많으리라 추정되는 미기록종을 고려하면
100E/MSY라는 멸종률도 상당히 저평가된 것일 수 있다는 게 연구팀의 분석이다.
지금까지 기록된 생물종은 세균류를 제외하고 190만여종이지만,
생물학자들 가운데는 미기록종까지 포함한 전체 생물종의 수가 1000만종이 넘거나,
곤충만 500만~600만종에 이를 것으로 추정하는 이들도 있다.
미기록종은 기록종에 비해 서식 범위가 좁을 가능성이 높아
서식지 교란과 같은 인간의 위협에 더 취약할 수 있다.
연구팀은 "많은 종들은 기록도 되기 전에 사라져버렸거나 사라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현재 생물종을 멸종 위기에서 구하기 어려운 요인 가운데 하나는
현재 생물종을 멸종 위기에서 구하기 어려운 요인 가운데 하나는
이들의 상태를 평가할 자료가 절대적으로 부족하다는 점이다.
청자고둥과(Conus) 생물의 경우 기록종 632종 가운데 6.5%가 멸종 위협에 시달리는 것으로 분류돼 있지만,
자료 부족으로 아예 평가 대상에 오르지도 못한 종이 14%나 된다.
연구팀은 자료 부족을 메우는 데 온라인 데이터베이스와 아이내추럴리스트(iNaturalist)와 같은
연구팀은 자료 부족을 메우는 데 온라인 데이터베이스와 아이내추럴리스트(iNaturalist)와 같은
스마트폰 앱을 활용한 일반 대중의 적극적인 참여가 중요한 역할을 해줄 수 있으리라 기대했다.
아마추어 시민과학자들이 평소에 만나지 못하던 생물종의 사진을 찍어 위치 정보와 함께 올리면,
전문 연구자들이 종합·분석해 다양한 분류군에서 풍부한 평가 자료를 축적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사는이야기 > 구암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저수지 5곳 집중호우땐 ‘ 위험 (0) | 2014.06.13 |
---|---|
송전탑과 전력수급 문제 (0) | 2014.06.11 |
종자, 세계를 지배하다 (0) | 2014.06.09 |
불청객 모기 (0) | 2014.06.07 |
인종, 개인별로 치아구조 차이 (0) | 2014.06.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