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천 곳곳에 ‘정원드림 프로젝트’ 조성
2020년에 도립화목원·공지천·의암호 등 5곳

 


도시를 건설할 때, 계획적으로 확보하는 녹지공간인 공원과는 달리,

정원은 본래 개인적인 공간이다.

 

하지만 아파트 문화가 자리 잡은 한국의 현실에서

개인이 정원을 꾸미기에는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공공에서 자투리땅이나 유휴지를 이용해

정원을 꾸미는 문화가 급속도로 퍼지고 있다.

 

단순히 꽃길을 조성하는 정도가 아니라 특정 공간을 예술작품처럼 보고 즐기면서,

들어가 쉼을 얻을 수도 있는 공간이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선진국형 문화 공간이 유지되고 자리잡을 수 있으려면

무엇보다 시민들의 이해가 높아져야 한다고 말한다.

아직은 많은 시민들이 공공시설로서의 정원에 대해 잘 모르고 있지만,

어느새 우리 삶 가까이 다가와 있다.

 

춘천에도 이미 도심 곳곳에 정원이 조성됐다.

산림청, 한국수목원관리원, 대학교, 지자체가 협력해 정원을 조성하는 사업인

‘정원드림 프로젝트’ 사업에 지난 2020년 춘천시가 선정돼 5개 정원을 조성한 바 있다.

 

△신구대학교 환경조경학과 COMMA 팀이 참여한 ‘근화동 361-1’ 일대의 정원

△강원대학교 생태조경디자인학과 GreenGrin 팀이 참여한 ‘사농동 644-1’ 도립화목원 내 정원

△강원대학교 생태조경디자인학과 봄내음 팀이 참여한 ‘삼천동 469-17’ 일대의 정원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오리지널 팀이 참여한 ‘약사동 150-15’ 일대의 정원

△경희대학교 환경조경디자인학과 FREEHUG 팀이 참여한 ‘사농동 644-1’ 도립화목원 내 정원 등이다.

 
 
[정원특집]
규제에 갇힌 춘천, 호수국가정원 조성으로 활로
‘정원소재실용화센터’ 건립·인력 양성 등 시동
지방정원→국가정원→정원도시 완성 추진

기후 위기 시대, ‘정원’이 뜬다

녹지공간 확충은 기후변화를 완화할 효과적인 방법으로 꼽힌다.

특히 코로나19로 인해 야외생활·숲·녹지가 인간 생활에

매우 중요하다는 공감대가 형성되면서 ‘정원’이 주목받고 있다. 

‘정원소재실용화센터’가 들어설 상중도 일원    사진 제공=춘천시

반려식물·플랜테리어 등 홈가드닝 정원문화가 부상했으며,

대기오염을 줄이고 실내온도를 낮추는 데 큰 효과가 있는 건물 외벽 ‘수직정원’이 화제가 되고 있다.

 

현재 전국 40곳에서 지방 정원을 조성하고 있다.

이 중 31곳(77%)은 코로나19 확산 이후 시작됐다.

또 법인이나 개인이 운영하는 민간정원 88곳 중 76%(67곳)도 2019년 이후 등록됐다.

이는 기후변화 대응 및 생태적 이점·보건 환경 개선·치료 효과·관광 등 정원의 영향력 때문이다.

 

특히 지난해 국내 정원산업 시장 규모가 1조 7천억 원으로 급성장,

정원산업은 조경·원예를 비롯한 다양한 분야의 소득 증대로 이어져

지역경제의 미래 성장동력으로도 조명받는다.

 

그중 식물 소재 시장은 전체 시장의 70%에 육박하며

전문가들은 정원산업이 연 5% 이상 성장할 것으로 전망한다. 

 

정원의 역사

 

정원은 산업혁명 이전까지 개인적 공간·사적 영역으로 발달해왔다.

이후 급격한 도시화로 인한 문제점이 커지면서, 공공복지라는 사회적 가치에 주목하며,

사적 영역에서 공공영역으로 확장된 현대적 도시공원이 문을 열었다.

바로 1857년 문을 연 뉴욕 센트럴파크이다. 조경이라는 개념도 그때 처음 나왔다. 

 

이후 한 세기가 훌쩍 지난 현재, 기후위기가 닥친 상황에서 충분한 공원을 보급할

땅과 재원 부족·복지 수요증가·도시재생·여가활동 변화 등과 맞물리며

사적인 정원이 공공영역으로 다시 들어오게 됐다.

즉 규모·주체·산업적 관점에서 과거와 다른 정원의 시대가 열리게 된 것이다.

 

지방정원·국가정원

 

‘지방정원’은 ‘수목원·정원법’에 따르면 지자체가 조성·운영하는 정원으로서

‘국가정원’ 지정을 위한 앞선 절차이다.

 

현재 전국 40곳에서 지방정원을 조성하고 있으며 산림청이 지정해왔지만,

앞으로는 광역 지자체장이 지정한다.

강원도에서는 ‘영월 연당원’이 지방 정원 1호로 조성·운영 중이다. 

 

지방정원이 되려면 10만㎡ 이상의 면적에 원형 보전지·조성녹지·호수·하천 등

녹지면적이 40% 이상을 갖춰야 한다.

 

지방정원이 국가 정원으로 지정되려면

△녹지 30만㎡ 이상에 전통·문화·식물 등 서로 다른 주제별 정원 5종 이상

△지방정원 등록 후 3년 이상 운영 실적

△최근 3년 내 정원 품질 및 운영·관리 평가 70점 이상

△10만㎡당 1명 이상의 정원 전문관리인 배치 등 까다로운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

 

해당 조건을 만족하면 산림청장이 국가정원으로 지정하여 국비를 지원하고 관리한다.

다만 운영권은 지자체가 갖는다. 현재 순천만과 태화강 국가 정원 두 곳이 있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은 순천만국가정원으로 인해 전남 지역 생산유발 효과 1조5천926억 원·

고용 창출 2만여 명·매년 온실가스 387.12t 흡수 등의 효과를 추산한다.

 

이런 효과 때문에 여러 지자체가 경쟁적으로 뛰어드는 상황에서

“정원 문화가 형성되지 않은 곳에서 무작정 정원을 조성하면 지속성을 갖기 어렵다.

 

지역이 갖는 고유한 역사·경관·자생 식물의 보존과 파악·

시민이 참여하고 가꿔가는 방안 등을 면밀히 고려한 추진이 필수적이다”라는

전문가 지적에 귀 기울여야 한다. 관련 내용은 인터뷰에서 확인할 수 있다.

 

춘천, 정원소재실용화센터 건립

시민정원사 육성 등 붐업 박차

춘천은 몇 해 전부터 허영 국회의원·전임 이재수 시장·관련 분야 교수 등이

춘천의 새로운 발전 전략으로 호수 자원을 활용,

춘천호수국가정원을 조성하자며 토론회를 여는 등 정원에 주목해왔다. 

특히 민선 8기에 들어선 지난해 정원산업 활성화와 정원시장 확대를 위한

‘정원소재실용화센터’유치에 성공하고,

정원도시 TF팀과 춘천시 정원문화진흥위원회를 설치했다.

 

또 최근 육동한 시장과 ‘자치 의정 연구회’ 시의원들은 ‘2023 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를 방문,

지역발전 효과에 대한 가능성을 살피는 등 정원도시 춘천 조성을 위해 본격적으로 나섰다.

 

시는 우선 ‘정원소재실용화센터’(이하 센터) 부지확보와 건립, 인력 양성에 시동을 걸었다.

센터는 호수국가정원조성을 위한 첫 단계로서 정원식물 소재·자재·용품에 특화된 전담 기관이다.

 

정원 소재 연구와 더불어 시민들에게 정원 관리 교육 등을 추진할 계획이며

나아가 식물 재배 및 판매 산업까지 이어갈 기반이다.

이를 통해 정원문화 확산 및 국가정원 기반을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센터는 상중도 일원 18만1천㎡에 사업비 196억(국비 147억 5천·시비 48억5천) 원을 투입하여

빠르면 2024년 말까지 건립될 예정이다.

시는 해당 지역 사유지(1만5천400㎡) 매입에도 곧 착수할 예정이다. 

 

시는 센터건립으로 내년 ‘지방정원 조성사업 공모’에 유리한 고지 선점을 기대하고 있다.

이후 해당 지역 12만㎡를 추가하고 ‘하중도 하천구역 산림휴양공간 조성’ 등

녹지 30만㎡를 확보하여 국가정원 지정에 도전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통해 시가 그리는 궁극적인 모습은

춘천의 강변 녹지축·도시숲·공원 등과 종합 연계된 ‘정원도시 춘천’이다.

 

또 ‘춘천시민정원사’ 양성에도 나섰다.

‘정원문화 조성 및 산업 진흥에 관한 조례’(2021년 1월 제정)에 근거,

정원 도시 춘천 시민참여와 붐업 조성·정원문화 확산·산업화 토대를 위한 인적자원이다.

 

이는 전임 이재수 시장 시절, (재)춘천지혜의 숲에서

신중년 대상 사회공헌 활동으로 진행했던  시민정원사와 성격이 다르다.

 

최근 강원대 조경학과가 위탁기관으로 선정되어 곧 교육생 모집에 나설 계획이다.

시민 누구나 지원할 수 있으며 기본·심화 교육 등이 진행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