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초 선생 맥 잇는 강원서예의 그윽한 묵향
제16회 강원서학회전
내달 3일부터 춘천·영월서
서예·문인화 100여점 전시
조선시대 김우명 교지 눈길
▲ 홍석창 작 ‘김삿갓의 시(金笠 詩)’여초(如初) 김응현(金膺縣) 선생의 맥을 잇는 강원서예의 향연이 펼쳐진다.
제16회 강원서학회전이 내달 3일부터 춘천과 영월에서 개최된다.
강원서학회(회장 홍석창),강원도민일보사(사장 김중석),국립춘천박물관(관장 김상태)이 공동 주최하는
이번 전시회 1부는 내달 3일부터 22일까지 국립춘천박물관 전시실에서 열리며
2부는 5월 6일부터 20일까지 영월예술창작공간 전시실에서 이어진다.
‘강원서예의 전통과 계승’을 주제로 강원도의 빼어난 경관과
논어구,문학작품 구절 등을 소재로 한 서예·문인화 작품 100여점을 만날 수 있다.
전시작품은 홍석창 강원서학회장이 ‘김삿갓의 시(金笠 詩)’와 ‘석의난’을 선보이며
이현순 도여류서예가협회장이 ‘고향생각(소나무)’ ‘퇴계선생 시 독서’를 전시한다.
황재국 전 강원서학회장은 ‘매월당 시(梅月堂 詩)’와 ‘예(藝)’를 내걸고
우안 최영식은 ‘홍매도’와 ‘선묘의 사랑’을 출품했다.
또 강원서학회 고문인 조순(전 경제부총리) 선생과 김중석 강원도민일보 사장 작품을 비롯
사진과 서예를 접목한 작품,목판 위에 그려낸 문인화 등 다양한 창작열을 감상할 수 있다.
특히 국립춘천박물관 소장품인 청풍부원군 김우명의 교지가 함께 전시돼 눈길을 끈다.
교지는 일종의 공문서로 조선시대 주로 예문관 관리들에 의해 작성,
왕명을 전하기 위해 엄정한 틀을 갖고 있지만 동시에 고아한 예술적 기품이 담겼다.
김우명(1619~1675)은 대동법을 주창한 영의정 김육의 둘째아들이다.
18대 임금 현종의 왕비인 명성왕후(1642~1683)의 아버지로 숙종의 외할아버지이기도 하다.
이 교지는 숙종임금이 김우명 사후인 1681년 시호와
정1품에 해당하는 영의정을 비롯 여러 벼슬을 추증하는 내용으로 가치를 지닌다.
홍석창 강원서학회장은 “여초 김응현 선생의 가르침을 이어받은
강원서학회 회원들은 서단에서 활발히 활동하며 한국 서예계 견인차 역할을 하고 있다”며
“이번 전시회를 통해 여초 선생의 큰 뜻을 이어받은 작품을 만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개막식은 내달 4일 오전 11시 국립춘천박물관에서 열린다.
'사는이야기 > 붓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발심자경문 (1) | 2018.06.25 |
---|---|
정선 화암사 현판글씨 (0) | 2018.04.19 |
남전 원중식 선생 유작전 (0) | 2018.01.09 |
가훈이 돌아왔다 (0) | 2018.01.01 |
만절필동 새긴 가평 조종암 (0) | 2017.1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