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꿀벌 킬러' 등검은말벌,
한반도 전역 확산…'비상'
중국 남부와 동남아시아 등 아열대 지역에서 건너온 '등검은 말벌'이 전국적으로 퍼지고 있어 비상이다.
번식력과 공격성이 토종 말벌보다 압도적으로 강한데다 꿀벌을 먹잇감으로 선호해 생태계에 막대한 피해를 야기하고 있기 때문이다.
23일 경북대학교 최문보 박사 연구팀 등 학계에 따르면 등검은 말벌(학명:Vespa velutina nigrithorax)이
최근 영남은 물론, 포천과 동두천 등 경기북부지역과 강원도 일대에서도 발견되고 있다.
등검은 말벌이 국내에서 처음 발견된 때는 2003년 부산에서였다.
학계는 당시 작은 벌집 하나 정도로 개체수가 작았던 데다가 아열대 종이라는 점에서 겨울을 넘기지 못할 것으로 예측했지만
10여 년이 지난 현재 남부의 영남은 물론, 중북부인 경기북부지역과 강원도 일대에서도 발견되고 있는 것이다.
최문보 박사의 외래종 말벌 연구팀 연구결과에 따르면 영남지역 도심에서 나타나는 대형 말벌 중 60∼90%가 등검은 말벌인 것으로 조사됐다.
등검은 말벌은 도심에서는 쉽게 둥지를 틀지 못하는 토종 대형 말벌보다 적응력이 뛰어나며
한번 벌집을 만들면 벌집 하나당 2천∼3천 마리까지 번식한다. 토종 말벌의 2배 규모다.
꽃이 아닌 버려진 음료수 캔에 남은 음료 등 음식물 쓰레기로 영양분을 섭취하고,
꿀벌은 물론 파리류를 잡아먹으며 도심에 적응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 때문에 도심에서도 시민이 말벌에 쏘일 위험성이 높다.
정철의 안동대 식물의학과 교수는 "개체수가 많고 도심에 주로 서식하며 공격성이 강해 위험성이 더 높다"고 지적했다.
꿀벌을 좋아하는 식성 때문에 양봉 농가도 비상이다. 등검은 말벌의 주요 먹이원 가운데 70%는 꿀벌이기 때문이다.
최문보 박사 연구팀이 지난해 9월 양봉 농가가 집중된 지리산 일대에서 꿀벌 벌통 6개를 표본으로
하루동안 등검은 말벌의 공격 횟수를 실험한 결과 등검은 말벌이 꿀벌 집을 습격한 횟수는 하루 167회에 달했다.
토종 말벌의 경우 좀말벌 12회, 말벌 4회, 털보말벌 125회, 장수말벌 23회로 등검은 말벌의 공격횟수가 압도적으로 많았다.
정철의 교수는 "토종 말벌이 늦어도 11월이면 월동에 들어가는 반면
등검은 말벌은 12월에도 활발히 활동해 말벌과의 전쟁을 치르는 양봉농가에 큰 부담이다"고 말했다.
꿀벌은 꿀을 생산할 뿐 아니라 꽃가루를 옮겨 식물의 번식을 돕지만 등검은 말벌 때문에 꿀벌의 개체수가 줄어들면서
생태계가 교란될 가능성도 있다. 여기에 더해 꿀벌 의존도가 높은 과일과 채소 농가 등에서는 경제적 피해도 예상된다.
또, 등검은 말벌 때문에 토종 말벌이 위축되는 점도 문제다.
최 박사 연구팀의 연구에 따르면 등검은 말벌이 확산한 일부 지역에서는 국내 토착 대형말벌 중 5종 정도가
등검은 말벌의 침입 및 확산 후 세력이 약해진 것으로 조사됐다.
심각한 피해가 우려되지만 별다른 대책은 없다는 게 더 큰 문제다.
2013년에 처음으로 환경부에서 국내 분포 지역 확인 작업이 진행돼 위해외래종 2급으로 지정됐다.
현재 1급으로 전환하는 문제가 논의 중이기는 하지만 소수 연구자들 이외 별다른 연구는 없는 상황이다.
최문보 박사는 "프랑스, 독일 등 이미 등검은 말벌이 침입한 국가뿐 아니라 침입이 없는 유럽국가, 일본에서도
이들의 유입 및 확산을 제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국내의 경우 이러한 대책이 거의 없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