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숲에 있습니다

 

/ 주원섭

 

''이라는 낱말을 한국말 사전에서 찾아볼 한국 사람이 얼마나 될지 모르겠으나,

애써 한국말 사전을 찾아본들 뒤죽박죽으로 오락가락하거나 겹말풀이만 흐릅니다.

 

먼저, 한국말사전에서 ''을 찾아보면 '수풀'을 줄인 낱말이라고 풀이합니다.

'수풀'"나무들이 무성하게 우거지거나 꽉 들어찬 것"으로 풀이하는데

삼림'과 비슷한 낱말이라고 다룹니다.

 

다시 '삼림(森林)'을 찾아보면 "나무가 많이 우거진 숲"으로 풀이합니다.

그런데 ''을 풀이하며 적은 "나무들이 무성하게 우거지거나"라는 대목이 아리송해서

'무성(茂盛)하다'를 한국말사전에서 찾아보니,

"풀이나 나무 따위가 자라서 우거져 있다"를 뜻한다고 합니다.

 

그러니까, "나무들이 무성하게 우거지다"라는 말풀이는 겹말입니다.

한국말 '우거지다'를 한자말로 '무성하다'로 가리키는 셈이니 "무성하게 우거지다"처럼 쓸 수 없습니다.

 게다가 한국말 '우거지다'를 한국말사전에서 찾아보면

", 나무 따위가 자라서 무성해지다"로 풀이해요. 빙글빙글 도는 돌림 풀이입니다.

 

더 헤아려 보면, '삼림'"나무가 많이 우거진 숲"이라 하는데,

'우거지다·무성하다'는 나무가 많이 있거나 빽빽한 모습을 가리킵니다.

"많이 우거진"처럼 쓸 까닭이 없습니다.

 

더군다나, ''이라는 곳은 "나무가 우거진 곳"인데,

'삼림'이라는 한자말을 "나무가 많이 우거진 숲"으로 풀이한다면, 이 말풀이는 알맞지 않습니다.

'삼림= '쯤으로만 풀이해야 올바르리라 느낍니다.

한국말로는 '·수풀'이요, 한자말로는 '森林'이며, 영어로는 'wood·forest'입니다.

 

주원섭님이 쓴 '숲 일기'<오늘도 숲에 있습니다>

 

''이라고 할 적에는 '나무'가 있어야 합니다.

그런데 나무가 한두 그루나 몇 그루가 있다고 해서 숲이라 하지 않습니다.

나무가 우거져서 푸른 그늘이 넓게 펼쳐지거나 이어지는 터가 돼야 비로소 숲이라 합니다.

 

숲에서는 나무 그늘 사이로 햇빛이나 햇살이 살짝살짝 비칩니다.

그리고, 숲이라는 곳에는 나무만 있지 않습니다. 나무 둘레로 풀이 우거집니다.

숲에는 온갖 풀이 골고루 자라고, 여기에 버섯도 함께 자라며,

숲벌레와 숲짐승과 숲새가 나란히 있습니다.

 

숲에 깃들면 나뭇가지와 나뭇잎이 바람 따라 살랑이는 노래가 흐릅니다.

숲벌레와 숲새가 들려주는 노래가 어우러집니다.

숲짐승이 숲을 오가면서 먹이를 찾는 동안 내는 소리가 섞입니다.

 

숲에는 나무와 풀과 벌레와 짐승과 새만 있지 않습니다.

나무가 우거진 곳이라면 샘물이 솟거나 냇물이 흐릅니다.

숲은 판판하거나 너른 땅에만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멧자락을 따라 숲이 이루어지곤 합니다.

그래서, 숲은 냇물뿐 아니라 골짜기와 골짝물을 고이 품습니다.

 

오늘날에는 '자연(自然)'이라는 낱말을 널리 씁니다.

자연을 지키자고 말하기도 하고, 자연을 사랑하자고도 말하며,

사람은 자연이 있어야 살 수 있다고도 말합니다.

 

그런데, 한국사람이 '자연'이라는 낱말을 쓴 지는 얼마 안 됩니다.

옛날 시골 사람은 한자로 된 말을 쓸 일이 없었으니까요.

시골 사람이 바라보던 '자연'이란 바로 ''이리라 느낍니다.

숲이 있어서 뭇목숨이 깨어나고 사람이 이 땅에서 삶을 지을 수 있다고 여겼으리라 느낍니다.

 

오늘날에는 어디나 도시로 바뀌었습니다만, 개화기 언저리와 한국 전쟁 무렵까지

이 나라를 놓고 '금수강산'이라고 했습니다.

'금수강산(錦繡江山)'"비단에 수를 놓은 것처럼 아름다운 산천"을 가리킵니다.

 

일본 제국주의가 이 나라를 짓밟고 한국전쟁이 불거지며 온 나라가 불바다가 되기 앞서까지,

이 땅은 숲이 아름답고 드넓게 펼쳐진 곳이었으리라 느낍니다.

어디를 가도 숲이 아름다웠기에 이를 두고 '금수강산'이라고 했겠지요.

 

숲 일기인 <오늘도 숲에 있습니다>는 숲에서 배운 이야기를 찬찬히 들려줍니다.

숲이 가르치는 이야기를 날마다 기쁘게 받아들이면서 철 따라 달 따라

새로운 이야기를 차근차근 적습니다.

 

숲이 있기에 문명과 문화가 태어납니다. 숲이 없으면 문명이나 문화가 태어날 수 없습니다.

숲을 아끼지 않아 나무를 함부로 베거나 없애면,

어떤 문명이나 문화이든 무너지거나 사라지고야 맙니다.

 

경제나 주식을 비평한다든지, 정치나 사회를 비평한다든지, 예술이나 문화를 비평한다든지,

교육이나 역사를 비평하는 사람이 매우 많습니다.

 

이와 달리, 숲을 이야기하거나 나무를 이야기하거나

풀과 꽃과 들과 바람과 하늘과 구름과 바다와 냇물을 이야기하는 사람은 매우 드뭅니다.

 

한 해를 통틀어 봄이랑 여름이랑 가을이랑 겨울에 따라

늘 달라지는 숲과 나무와 풀과 꽃을 가만히 지켜보면서,

날마다 나무를 마주하고 숲바람을 쐴 수 있다면,

참말 얼마나 아름다울까 하고 꿈을 꿉니다.

 

'사는이야기 > 구암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레고랜드 부지 발굴현장  (0) 2015.06.09
'식용유' 노예된 당신  (0) 2015.06.05
한국인 이모저모  (0) 2015.06.04
탄저균 사고 대책은 있는가  (0) 2015.06.04
서울역 고가 공원화 계획  (0) 2015.05.2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