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나리(koean forsythia)
춘천시 시목(市木은 은행나무, 시화는 개나리, 시조는 산까치, 시동물은 호랑이다
쌍떡잎식물 용담목 물푸레나무과의 낙엽 관목.
개나리 꽃잎이 나기 전, 밝은 노란색의 꽃이 핀다.
연교, 신리화라고도 하며 북한에서는 개나리꽃나무라고 부른다.
산기슭 양지에서 많이 자란다. 높이 약 3m이다.
가지 끝이 밑으로 처지며 잔가지는 처음에는 녹색이지만 점
차 회갈색으로 변하고 껍질눈[皮目]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낙엽 활엽 관목으로 원산지는 한국이고 한국 특산 식물이다.
연교는 연꽃의 연자(蓮子:연밥)에서 유래된 것으로
개나리꽃의 열매가 연꽃의 열매처럼 생겼기 때문이다.
어떤 학자는 꽃이 달린 긴 가지가 새꼬리처럼 생겨서
연교란 이름이 생겼다고 풀이하고 있으나 새꼬리란 말은 인도의 전설에서 왔을 것이다.
함경도에서는 꽃이 일찍 피기 때문에 매화라고 부르기도 한다.
신이화·영춘화·어리자 및 어아리 등의 이름도 보이지만
개나리란 말이 가장 널리 통용되고 있는 이름이다.
그러나 평안도와 함경도의 일부에서 쓰고 있는 개나리라는 말은 참나리에 대한 말이다.
이 지방에서는 이른봄에 나리의 뿌리를 캐서 식용으로 하고 있는데,
맛이 없는 종류를 개나리라고 부르는 것이다.
줄기는 가지가 길게 뻗어서 사방으로 처지고 줄기 속에는 계단상으로 된 골속이 있다.
잎은 마주 달리고 난상피침형 또는 난상타원형으로서 중앙 이하가 가장 넓다.
개나리는 꽃과 수형이 매우 아름답고 이른봄에 꽃이 피며,
병충해와 내한성이 강하고 아무 곳에서나 잘 자라기 때문에
중요한 관상수로서 오래전부터 공원·가정 및 노변에 심어져 왔다.
과실은 한방에서 연교라고 하여 배농(排膿)·해독·
살충·임파선염·종기·소염·월경불순·이롱(耳聾) 등에 이용되며,
열매껍질의 추출물이나 분해물은 항균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개나리는 열매가 많이 열리지 않으므로 주로 약재로는
의성개나리(약개나리)의 열매가 쓰여져 왔다. 이는 경상북도 의성지방에서 많이 재배하였고,
연간 1만2000㎏ 정도 생산하여 전국에 공급해 왔으나 현재에는 시가의 폭락으로 거의 재배되지 않는다.
개나리의 꽃에는 색소배당체(色素配糖體)가 함유되어 있어
개나리술을 빚어 마시면 여성의 미용과 건강에 좋다는 말이 있다.
개나리술을 담그는 방법은 봄철에 개나리꽃을 소주 1l에 500g 비율로 넣고 밀봉하여
그늘에 약 2개월간 묻어두면 색이 곱고 향기가 높은 맛좋은 술이 된다.
이를 식전 또는 취침전에 한두잔씩 마시면 미용건강에 효과가 있다는 것이다.
또, 가을에 열매를 따서 말려 소주 1l에 200g의 비율로 넣어
약 3개월 저장하여 두면 연교주(連翹酒)가 된다.
이는 개나리술보다 향기가 적고 맛은 없으나 약효는 좋다고 한다.
개나리꽃의 유래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설화가 전해지고 있다.
어느 부자집에 스님이 시주를 청하러 갔더니 부자는
“우리집엔 개똥도 없소.”라고 하면서 박대를 했지만,
이웃의 가난한 사람은 정성껏 시주를 했다.
그러자 스님이 짚으로 멱둥구미(짚으로 둥글게 만든 곡식을 담는 소쿠리 같은 그릇) 하나를
만들어 주고는 사라졌는데 그 속에서 쌀이 계속 쏟아져 나와 가난한 사람은 금방 부자가 되었다.
이웃 부자가 이 사실을 알고는 몹시 원통해 하였는데
이듬해에 그 스님이 또 시주를 청하러 왔다.
부자가 이번에는 쌀을 시주하자, 스님이 역시 멱둥구미 하나를 만들어 주고는 사라졌는데
열어보았더니 쌀 대신 개똥이 가득 들어 있었다.
주인이 놀라 그것을 울타리 밑에다 묻어두었는데 거기서 개나리꽃이 피게 되었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