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예가 백범을 다시 보다
백범 김구가 1947년 2월 심산 김창숙에게 써준 ‘일송오강’.
사람의 도리를 요약한 5개 강령으로, 70여 년 만에 처음 공개됐다. [사진 은평역사한옥박물관]
1947년 2월 10일 겨울 찬바람이 불던 날, 백범(白凡) 김구(1876~1949)가
평생 동지인 심산(心山) 김창숙(1879~1962)과 마주 앉았다.
고희(古稀) 전후의 두 노인은 나라의 앞날을 걱정했다.
광복을 맞은 지 3년째 됐건만 진정한 독립은 아직 멀어 보였다.
나라는 남북으로 갈라졌고, 정국은 혼탁하기만 했다.
심산이 백범에게 부탁했다. “백범, 내게도 글씨를 하나 써주시오.”
평생 동지 심산에 써준 ‘일송오강’
백범 특별전서 73년 만에 첫 공개
독립운동 매진한 두 거목의 우정
‘사람이 곧 글씨’ 우국충정 돋보여
중국 임시정부 시절부터 지인들에게 글을 나눠주며 조국 광복을 염원해온 백범이었다.
그가 심산에게 되물었다. “어떤 문구가 좋겠소.”
심산이 답했다. “스승이신 대계(大溪) 선생의 ‘일송오강’(日誦五綱)이 적당할 것 같소.”
백범도 고개를 끄덕였다. 심산의 오늘을 있게 한 대계 선생이 아닌가.
그리고는 ‘일송오강’ 5개 강령 25자를 써내려갔다,
‘천지를 위해 마음을 세우고, 부모를 위해 몸을 세우고, 나를 위해 도를 세우고,
백성을 위해 진력을 다하고, 만세를 위해 규범을 세운다.’
(爲天地立心 爲父母立身 爲吾生立道 爲斯民立極 爲萬世立範)
두 노인은 뜻이 통했다. 나라의 장래를 위한 문구로 모자람이 없었다.
‘일송오강’은 중국 만주의 황무지를 개간하고,
독립운동 기지도 세웠던 대계 이승희(1847~1916) 선생이 직접 지어 매일 외던 글귀였다.
심산 자신에게도 좌우명 같은 경구였다.
'사는이야기 > 붓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추사에 얽힌 일화와 인물 (0) | 2022.11.16 |
---|---|
인제 합강정 (0) | 2021.04.07 |
세한도 (0) | 2021.01.05 |
수타사 (0) | 2020.11.06 |
서예, 현대미술이 되다 (0) | 2020.04.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