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복'에 드리는 겨울풍경
일 년 중 가장 더운 기간을 일컫는 말, 삼복.
삼복은 7~8월 중에 있는 세 번의 절기로
약 10일 간격으로 있는 초복·중복·말복을 의미합니다.
복날은 ‘장차 일어나고자 하는 음기가 양기에 눌려
엎드려 있는 날’이라는 뜻입니다.
즉, 오행에서 여름은 ‘불’에 속하고, 가을은 ‘쇠’에 속하는데, “
여름 불기운에 가을의 쇠 기운이 3번 굴복한다.”라는 뜻으로
복종한다는 뜻의 ‘복(伏)’자를 써서 삼복이라 했습니다.
중복은 하지로부터 넷째 경일을 가리키며, 복날은 각각 열흘 간격으로 있습니다.
이때를 ‘삼복더위’라고 하는 것은 1년 중 더위가 가장 심한 때이기 때문입니다.
삼복에는 더위를 이기기 위해 개장국과 삼계탕을 즐겨 먹었습니다.
또한 복날 더위를 먹지 않고 질병에 걸리지 않는다 하여
팥죽이나 수박, 참외를 먹었습니다.
옛 선조들은 복날이 되면 복달임이라 하여
시원한 강과 계곡으로 놀이를 갔습니다.
이열치열이라하여 닭이나 개장국을 먹은 후
후식으로는 이냉치열이라하여
참외나 수박 같은 시원한 과일을 먹었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삼복은 어떻게 유래된 것이고,
조상들은 더위를 피하기 위해 어떠한 풍습을 가지고 있었을까요?
삼복은 진나라 덕공 2년, 예부터 중국에서 전해오는 주술행위에 따라
여름 더위에 해충으로 인한 피해를 막기 위해
개를 잡아 삼복 제사를 지내는 것에서 유래되었다고 합니다.
조선시대 궁중에서는 삼복 때 고위 관료들에게
더위를 이기라는 뜻으로 빙표를 나누어 주었는데
빙표를 가지고 장빙고에 가면 얼음을 타 갈 수 있었다고 합니다.
또한 삼복에 내리는 비를 삼복비라 하여
이 비로 일 년 농사를 점쳤다고 합니다.
남쪽 지방에서는 '초복날 소나기는 한 고방의 구슬보다 낫다.'라며
삼복비를 반기는 뜻의 속담이 전하는 반면
북쪽 지방에서는 대추 팔아 결혼자금 마련하려던
처자가 삼복비를 맞으며 운다는 속담이 전해 내려온다고 합니다.
오늘날엔 복날이면 삼계탕집이 인산인해를 이룹니다.
이는 동의보감에 닭고기가 여름철 건강에 이롭다는 말이 실리면서
복날의 중요음식이 되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요즘같이 폭염주의보가 계속되는 날
카페에서 삼복에 대접할만 한 방법이 없어
지난 겨울 삼복더위에 대비에 숨겨두었던 카드를
더위를 이기라는 뜻으로 꺼내들었습니다
하로동선(夏爐冬扇), 격에는 맞지않아도
추운겨울을 생각하면서 잠시 더위를 잊으시기 바랍니다
결코 요즘엔 볼 수 없는 풍경입니다
'사는이야기 > 길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나소닉 LUMIX DMC-LX10 개봉기 (0) | 2017.07.30 |
---|---|
보케사진 (0) | 2017.07.30 |
평창올림픽 G-200일 불꽃축제 (0) | 2017.07.23 |
강남동 기타교실 발표회 (0) | 2017.06.30 |
2017춘천호수별빛나라축제 (0) | 2017.06.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