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선충과의 전쟁

 

/ 김정인

 

.누구나 어릴 때 한 번쯤 부른 노래가 소나무라는 동요일 것이다.

독일 동요를 번역해 부른 노랫말이다. “소나무야, 소나무야, 언제나 푸른 네 빛. 쓸쓸한 가을날이나 눈보라 치는 날에도 소나무야.”

소나무를 가장 좋아하는 한국 사람들의 애창곡이기도 하다.

 

그러나 소나무 재선충으로 인해 한국 나무의 23%를 차지하는 우리의 소나무가 빠르게 사라져 가고 있다.

걱정이 아닐 수 없다. 발생경로는 이렇다.

 1내외의 실 같은 선충이 매개충인 솔수염하늘소 또는 북방하늘소에 의해

소나무·잣나무·해송 등에 옮겨 온 뒤 물의 이동 통로 역할을 하는 가도관(假導管)을 막아 나무를 시들어 죽게 한다.

더구나 이 솔수염하늘소가 2는 날아간다고 하니 다른 나무로 옮기는 속도도 매우 빠를 수밖에 없다.

 아직까지 에이즈의 처방약이 없듯이 소나무 재선충에도 천적이나 효과적인 약품이 없어 결국에는 자르는 수밖에 없다.

 

1988년에 처음으로 부산의 금정산에 나타나 한동안 증가하다가 정부의 해충 방제 노력으로 주춤했다.

그러나 2013년부터는 울산, 경북, 경남, 전북 군산, 제주도, 마침내 서울 남산에서도 재선충이 발견되고 있다.

 

조만간 전국으로 퍼지는 것은 시간 문제라고 본다. 이미 2015년까지

200만 그루의 나무가 고사했고 13정도의 산림이 초토화됐다.

이러한 속도라면 금강송·흑송과 같은 희귀하고 기품 있는 소나무들이 걸리지 말라는 법이 어디 있는가. 생각만 해도 끔직한 일이다.

 

설상가상으로 북한에서는 수십 년 전부터 기후변화와 식량부족,

그리고 폭우로 인해 수백만의 산림이 황폐화되어 가고 있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지금 온 국민이 총력을 다해 재선충을 막지 못한다면

북한에는 산림의 대재앙이 올 수도 있다.

한반도 산 전체가 흉물스러운 누런빛으로 변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

산림청은 2017년까지 재선충과의 전쟁을 선포하면서 5대 핵심 과제를 수립해 추진 중이다.

우선 재선충의 매개충이 더 퍼지기 전에 나무를 방제하는 것이다.

품질과 친환경 기술도 높이면서 예방 방제 강화와 예찰 및 모니터링을 현대화하고, 고사목을 재활용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에 못지않은 사항이 있다. 그것은 국민들에 대한 홍보 강화와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정부의 과감한 예산 확대가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인력과 예산이 필수적인데 국민들의 관심은 부족하고 정부의 예산 또한 턱없이 부족하다.

 국민의 스포츠라 불릴 정도로 등산은 즐기면서 나무 살리는 데는 무관심한 국민과 투자에 소극적인 정부의 모순된 행동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우선 국민들에게 대대적으로 홍보하고 교육해야 한다.

산에서 누렇게 변해 가는 소나무가 보이면 바로 신고할 수 있도록 신고센터를 확대 운영해야 한다.

 

 에너지 절약이나 환경을 보호하자는 홍보와 광고는 자주 보이지만 재선충을 막자는 정부 광고는 거의 보이지 않는다.

정부 혼자만의 문제가 아니라 국민 모두와 함께 하는 대대적인 우리 소나무 지키기 운동을 즉각 시행해야 한다.

 

두 번째는 예산의 증액이 반드시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정부가 소나무 재선충 박멸을 위해 배당한 예산은 2015년의 경우 약 700억원 가까이 되지만

이것으로 전국을 방제하기에는 부족하다고 본다.

지난 32일 한국임업진흥원에 소나무 재선충병 모니터링센터를 개소하기는 했지만 인력이나 예산은 턱없이 부족한 상태다.

 

세 번째는 효과적이면서 올바른 방제 방법을 찾아야 한다는 것이다. 선무당이 사람 잡는다고 했다.

그 한 예로 수도권 아파트 단지에서 소나무를 보호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수목을 방제하기는 하지만

전문지식이 없는 사람들이 시행하다 보니 나무에 고독성 농약을 남용하는 사례도 있다.

시민들의 건강을 해치기도 하고 나무를 제대로 살리지도 못하는 것이다.

 

산림 강국인 일본에서는 1991년부터 나무 의사 제도를 시행해

2010년까지 1909명을 배출했고 현재도 매년 120명씩 양성하고 있다.

 한국은 나무병원에 등록된 수목보호기술자가 100명도 안 된다.

최근부터 나무의사 제도를 시행하고 있는 것은 그나마 다행이지만 조속히 더 많은 의사를 양성해야 한다.

 

또 다른 실패 사례가 있다.

제주도의 지정 문화재이면서 생태계 보전 지구인 곶자왈에서 재선충이 생기자

고사목 제거를 위해 무분별하게 벌채한 결과 백서향 자생지나 다른 자연보존지역이 훼손되었다고 한다.

 

 다른 나무나 산지가 훼손되지 않도록 하는 새로운 장비의 개발과

현장 사람들에 대한 철저한 교육, 환경 친화적 벌채 방법에 관한 정확한 매뉴얼 등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옛날부터 소나무는 영험한 기운이 있다고 믿어서 동네의 수호목으로 가장 많이 사용했다.

또한 변하지 않는 기상과 강인한 모습을 지니고 있어 예부터 문인들의 그림이나 글의 단골 소재가 되기도 했다.

이러한 소나무가 점점 죽어 가고 있다. 우리의 삶을 풍요롭게 해주었던 푸른 소나무를 살리는 것은 한국의 숲을 살리는 길이다..

 

 

소나무 재선충병 습격…도내 침엽수림 고사 위기

 

생사 기로에 선 침엽수림

재선충병 발생 시·군 6곳으로
완벽한 초기 방제 필요성 커져
“실패 땐 일본처럼 전멸” 우려

사계절 푸른 숲을 만들던 도내 소나무와 잣나무, 전나무 등 침엽수림이 재선충병의 습격에 푸른 빛을 잃어버릴 위기에 처했다.

특히 올 들어 횡성과 홍천 등에서 잇따라 재선충이 발견돼 재선충병 발생 시·군이 6곳으로 늘면서 완벽한 초기 방제 필요성은 더욱 커졌다.

산림 관계자 등은 재선충병이 이처럼 확산되자 초기 방제에 실패할 경우 사실상 소나무류가 전멸한 일본의 전철을 뒤따를 것이라며 우려하고 있다.

일본의 경우 1900년대 초 규슈(九州)지방에서 소나무 집단 고사 현상이 보고된 후

1905년 나가사키에서 소나무 고사목 38그루가 발견됐고, 불과 1년 후인 1906년 후쿠오카 3,000그루,

 1907년 가고시마 4,589그루의 소나무가 고사했다.

 

 당시 일본은 초기 천공성 해충 피해로 오인해 적절한 초기 방제 전략을 수립하지 못했고

2차 대전을 거치며 나무 유통이 늘면서 재선충병이 급속도로 확산돼 피해를 키웠다.

더욱이 일본 정부는 1968년 뒤늦게 재선충병을 확인했음에도 1982년에 가서야

 `소나무재선충 피해대책 특별조치법'을 개정하는 등 뒷북 행정으로 초기 대응에서 완벽히 실패했다.

 

결국 일본은 천문학적인 예산 투입에도 재선충병 확산을 억제할 수 없게 되자 선단지,

 방풍림 등의 필수 소나무림만 방제하는 `선별적 방제'로 방제 전략을 선회할 수 밖에 없었다.

이에 따라 재선충병 유입 110여 년이 지난 요즘, 일본 전체 소나무림 90%가 사라졌고 홋카이도 등 일부에만 남아 았다.

국내의 경우 제주도와 대구 부산 등 영남 지역이 사실상 재선충병 초기 확산 억제에 실패하면서 사투를 거듭하고 있다.
이 지역들은 2013년 전국적인 재선충병 확산 당시 초기 예찰 실패, 고사목 훈증 처리 미숙 등의 지적이 잇따랐던 곳이다.


 
김종국 강원대 산림환경보호학과 교수는 “한 번 발생한 재선충과 매개충은 완전 박멸이 굉장히 어려운 만큼

 사전 예찰을 강화해 재선충병 초기 확산을 막는 일에 모든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日 전국토 초토화·대만은 방제 포기 … 한국 2017년 완전방제 목표

올 들어 춘천, 홍천, 횡성에서 잇따라 재선충병이 확인되면서 도 전역이 재선충병 공포에 휩싸였다.

도내 재선충병이 확산과 박멸의 기로에 선 만큼 `재선충 완전 방제'의 성공 여부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정부는 지난 1월 “소나무 재선충병 피해목을 2018년까지 10만 그루 이하로 감소시키는 등

2017년까지 재선충병 완전 방제를 달성하겠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전국 지자체에 764억원의 방제 예산이 책정됐고 하루 4,000여명의 방제 인력 동원안도 마련됐다.

도에 따르면 올해 도에 배정된 병해충 관련 예산도 90억4,700만원에 달한다.

이처럼 정부가 소나무 재선충병 완전 방제를 선언한 것은 국내 전체 산림의 약 23%를 소나무가 차지할 정도로 비율이 높고,

소나무가 지니는 상징성이 매우 크기 때문이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여전히 정부의 재선충병 완전 방제 정책에 의문을 던지는 주장도 잇따르고 있다.

경기연구원이 지난해 발표한 재선충병 관련 자료에는 `1,000억원을 투입한 제주도가 확산 방지에 실패했던 점 등을 미뤄

 기존 전략은 실효성이 떨어지며, 화학적 방제법의 안정성에도 의문이 든다'는 주장이 담겨 있다.

부족한 예산도 재선충병 완전 방제 정책의 걸림돌이다. 매개충과 재선충의 유전자 변형을 일으키는 예방나무주사가

현재로서는 가장 효과적인 화학적 방제법으로 알려져 있지만

 도내 23만6,000여㏊ 중 올해 접종 예정 면적은 8분의 1 수준인 4,600㏊에 그친다.

도 산림 당국의 산림병해충 방제 예산도 재선충병이 재발했던 2013년 이후 4년간 2013년 94억3,000만원,

2014년 103억8,400만원, 2015년 57억4,600만원, 올해 90억4,700만원으로 큰 오름폭 없이 해마다 비슷한 수준이다.

오히려 지난해에는 영남, 제주 지역의 방제 예산 증액을 위해 도내 방제 예산이 반토막 나기도 했다.

결국 부족한 예산을 늘리기 전까지는 방제가 꼭 필요한 일부 지역에 모든 방제 역량을 집중 투입할 수밖에 없는 현실인 셈이다.

도내 재선충병 주요 감염 수종인 잣나무에 맞는 지역 맞춤형 방제 전략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높다.

잣나무는 고사 속도가 2~3년으로 느려 감염목 예찰이 쉽지 않고 감염목을 발견한다 해도

인근 산림에 재선충병 감염 나무가 얼마나 되는지 정확한 확인조차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아직 재선충병이 확인되지 않은 시·군에서도 사전 예찰을 강화하고

시·군 자체 방제사업을 보완할 예산과 전문 인력을 확보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도 산림 당국 관계자는 “본격적인 북방수염하늘소 우화기 전까지 최대한 방제책을 강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국내외 피해 현황

 

전국 218만 그루 감염 3년새 8배 급증 日 소나무숲 176만㏊ → 75만㏊ 급감

`소나무 에이즈'로 불리는 소나무 재선충병이 국내에 상륙한 지도 벌써 28년이 흘렀지만 기세는 꺾일 줄 모르고 오히려 세를 더하고 있다.

도의 경우 남부 지방에 비해 상대적으로 피해가 덜하지만 도 전체 산림 137만㏊ 중 소나무림 면적만 23만6,000㏊에 이르는 만큼 재선충병의 손아귀에서 결코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다.

도는 2005년 10월 강릉시 성산면 금산리를 시작으로 같은 해 11월 동해시 삼화동 무릉계곡 인근 국유림, 2007년 춘천시 동산면 원창리, 원주시 호저면 등에서 재선충병이 확인됐다. 이후 6년간 도내 재선충병이 자취를 감추면서 도는 2011년 전국 최초로 소나무 재선충병 청정지역을 선포했으나, 2013년 춘천에서 재선충병이 재발했고 이후 3년간 도내 곳곳에서 재선충병 발생이 끊이질 않았다.

2013년부터 올해 3월 기준 도내 재선충병 발생 지역도 춘천, 원주, 강릉, 정선, 횡성, 홍천 등 6개 시·군으로 늘었다. 이들 지역에서 3년간 확인된 감염목만 67그루에 이른다. 지난해 10월부터 올해 3월까지 감염목과 주변 산림에서 베어낸 소나무와 잣나무는 4,580그루에 달한다.

1988년 부산에서 국내 처음으로 발견된 소나무 재선충병은 2013년을 기점으로 경기, 영남, 제주 지역을 중심으로 폭발적인 확산세를 보이며 전국의 소나무림을 초토화시켰다. 2010년 26만여 그루에 불과하던 소나무 재선충병 피해목은 불과 3년 만인 2013년 218만여 그루로 약 8.3배가 늘었다. 2015년 말 기준 전국의 소나무 재선충병 누적 피해목은 903만여 그루에 달한다. 전국 광역 시·도 중 인천, 대전을 제외한 15개 지역, 총 93개 시·군·구에서 소나무 재선충병 감염이 확인됐다. 특히 피해가 극심한 제주도에서만 두 차례의 대규모 방제를 거치며 100만여 그루의 소나무가 잘려나간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와 인접한 일본, 대만, 중국 등 국외 재선충병 피해 상황은 더욱 심각하다. 일본은 1905년 규슈에서 재선충이 처음 발견된 이후 매년 약 100만㎡씩 피해 면적이 확산됐고 지난해 기준 176만㏊에 달하던 소나무림 면적은 75만㏊까지 급감했다. 대만은 1985년 재선충병 최초 발생 후 유구송과 해송, 대만이엽송 등의 피해가 상당해 방제를 포기하고 차(茶) 나무로 소나무 수종을 대체 중이다.

중국 또한 중요 문화재 보존 구역 일대를 둘러싼 소나무를 모두 베어버리는 등 무송(無松)지대를 만들며 일정 부분 재선충병 방제를 포기하는 전략을 세우기도 했다.

日 전국토 초토화...국내 218만 그루 감염 3년새 8배 급증


 

 

'사는이야기 > 구암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홍영표 후보의 '시력측정표'  (0) 2016.03.28
양구에 '배꼽 길' 조성  (0) 2016.03.28
물 정책 현황 점검  (0) 2016.03.22
신대방동 에너지자립 마을  (0) 2016.03.22
우레탄 트랙 퇴출하라  (0) 2016.03.2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