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천시 '캠프페이지' 개발 공청회 격론…

일부 시민단체 불참 일부 시민 고성 지르며 반발…

"반대토론 없이 반쪽" 주장

춘천시 혁신지구 개발 방안 조감도

 

강원 춘천시 캠프페이지를 개발하는 방향을 놓고 24일 춘천시청 대회의실에서 열린 공청회가

일부 시민단체의 불참 속에 진행됐다.

 

이날 공청회는 도심 한복판 19년째 대부분 공터로 남아있는 옛 캠프페이지

전체 부지 52만㎡ 가운데 12만㎡를 컨벤션 등이 포함된 도시재생 혁신지구로 만들고자

춘천시가 국토부 공모 절차의 하나로 마련한 만큼 찬반 논란도 뜨거웠다.

 

공청회는 시가 캠프페이지를 개발하는 '도시재생혁신지구 및

도시재생활성화 계획(안)'을 발표한 데 이어

장희순 강원대 교수의 진행으로 박승훈 단국대 교수, 박기복 강원대 교수,

전창대 전 픽트 대표가 참여한 토론회, 질의응답 순으로 진행됐다.

개발앞둔 춘천 옛 캠프페이지 부지

 

춘천시가 추진하는 도시재생혁신지구 계획의 핵심은 일자리 창출을 통해

지역 내 청년 유출을 방지하고 원도심 공동화 방지 및 활성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시는 캠프페이지 내 주요 산업으로 VFX(시각특수효과) 첨단영상과

컨벤션센터를 도입해 각종 전시회, 대규모 회의가 가능한 공간으로 활용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박승훈 교수는 "캠프페이지 개발 방안이 구체적이기보다 추상적이어서

어떠한 공간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에 대한 명확한 그림이 그려져야 하며

공모를 통해 관광에 대한 분야도 강조하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춘천 캠프페이지 개발 공청회

 

박기복 교수는 "춘천시가 추진 중인 VFX의 경우 청년 인구 유출을 막는 데

중요한 혁신산업이 될 수 있다"며 "캠프페이지든 아니든 젊은 층의 미래 먹거리 사업이라는

중요성을 인식하고 도약하는 기반을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 대표는 "춘천이 수도권에서 있는 유능한 청년들이 출퇴근할 정도로 수도권과 접근성이

뛰어난 점을 앞세워 외곽보다 도심에 질 좋은 일자리를 만들어 주었으면 좋겠다"고 의견을 제시했다.

 

하지만, 공청회를 시작하기에 앞서 일부 시민은 타당성 등이 제대로 검증되지 않았다며 반발했다.

일부 시민은 공청회가 반대 목소리가 없는 공모를 위한 요식행위라며

고성을 지르면서 진행에 차질을 빚었다.

 

공청회 반발 시민의 퇴장 요구

 

이 과정에서 퇴장을 요구한 시 공무원과 몸싸움이 벌어졌고, 경찰이 출동하면서

공청회 진행이 20여분가량 지연되기도 했다.

 

나철성 강원평화경제연구소장은 "캠프페이지 개발에 따른 사업비에 대한 검증이 필요하며

VFX를 통한 영상산업에 대한 기대를 밝혔지만, 지역에 성공 사례가 기억나지 않고, 컨

벤션 유치가 필요한 근거도 부족하다"고 주장했다.

춘천시민연대 등 일부 시민단체는 공청회보다 공론화가 우선이라며 불참했다.

공청회에 반발하는 시민과 이를 제지하는 공무원

 

춘천시는 공청회에 이어 시의회 의견을 청취하고 국토교통부의 공모 지침에 맞춰

5월 공모사업을 신청할 계획이다.

 

캠프페이지 개발은 지난해 국토부 공모에 한차례 탈락한 춘천시가 상업지구 등 면적을 축소해

올해 다시 공모에 들어가기로 했지만, 강원도가 반대하면서 정면충돌 양상이 벌어지고 있다.

 

춘천시는 70%가량을 공원으로 조성해 일부 시설에 대해서만 청년일자리 등을 위한

첨단산업단지로 조성한다는 입장이지만, 도는 공모 절차에 사전 협의가 있어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와 관련, 정광열 경제부지사는 이날 도청에서 기자 간담회를 통해 "공청회가 사전에

패널을 모르는 상태에서 깜깜이로 진행됐으며 춘천시의 계획을 보면 혁신지구를

상업지역으로 바꿔야 하는 것으로 되어 있는데 난개발 우려가 높다"며

"행정 절차가 이행되는 과정이 적법하지 않다"고 말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