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자고는 양지바른 풀밭에서 이른 봄 피어나는 꽃입니다.
까치무릇이라고도 부르며 꽃말은 '봄 처녀'입니다
산자고(山慈姑)
까치무릇이라고도 한다.
외떡잎식물 백합목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꽃 모양이 앙증맞고, 흰색 바탕에 보라색 줄무늬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높이는 30 cm 정도이며, 잎은 선 모양이다.
4~5월에 자주색 줄이 있는 흰색의 꽃이 꽃줄기 끝에 달리고 열매는 삭과(蒴果)로 세모꼴이다.
전남, 전북, 제주 등지에 분포한다.
주로 양지바른 풀밭에서 자라고 키는 30cm 정도로 땅속에는 수염뿌리가 달린 비늘줄기가 있다.
이른 봄에 피는 꽃은 줄기 끝으로 1송이에서 많게는 3송이까지 달리고 종 모양으로 위를 향해서 핀다.
뿌리에서 나오는 두 장의 잎은 선형으로 흰빛을 띠고 녹색이다.
땅속에 있는 비늘줄기는 먹을 수 있고 생약명으로 광자고라 하는데,
약한 독성을 지닌 생약명이 산자고인 약난초와 혼동을 일으켜 이용할 때 주의가 필요하다.
이 꽃의 한자이름을 가만히 보면 "자애로운 시어머니"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어떤 사연이 있는 것일까 궁금해서 인터넷을 뒤져보았다
옛날 어느 산골에 마음씨 고운 아낙네가 홀로 3남매를 키우며 살고 있었다
세월이 흐르자 딸 둘은 출가하고 막내인 외아들만 남게 되었다.
아들도 장성하여 장가갈 나이가 되었는데 늙은 어머니를 부양하며 사는 가난한 총각에게
시집을 오겠다는 처녀가 있을 리 없었다.
아들을 혼사를 위해 근처 큰 마을까지 몇 번이나 매파를 보냈지만 결과는 마찬가지였다
세월이 흐를 수록 늙은 어머니의 시름은 깊어만 갔다.
그러던 어느 봄날 밭에서 일하던 어머니의 눈에 보퉁이를 든 처녀 하나가 나타났다.
처녀가 말하기를 산 너머에서 홀아버지를 모시고 살고 있었는데
시집을 가지 못하고 있던 중 아버지가 돌아가시면서 남긴,
“나 죽으면 산 너머 외딴집을 찾아가보라”는 유언을 따라 찾아온 것이라 했다.
이렇게 짝 지워진 아들과 며느리를 볼 때마다 어머니의 마음은 흐뭇하기가 이루 말할 수 없었다
아들과 며느리의 효성도 지극했다.
그런데 이듬해 초봄, 며느리의 등에 아주 고약한 등창이 생겼다
그로 인해 말할 수 없는 고통의 날이 이어졌다.
가까운 곳에 의원도 없고 마땅한 치료를 해줄 수가 없어어머니는 애만 태우고 있었다
그러다가 며느리의 등창을 치료할 약재를 찾아 막연하게 산 속을 헤매게 되었다.
그렇게 며칠이 지난 어느 날, 어머니에게 우연히 양지 바른 산등성이에서 별처럼 예쁘게 핀 작은 꽃이 눈에 띠었다.
꽃이 피기에는 이른 계절이었으므로 신기하여 바라보고 있는다
그런데 그 작은 꽃 속에서 며느리의 등창난 상처가 떠오르는 것이 아닌가!
이상하게 생각한 어머니가 그 뿌리를 캐다가 으깨어 며느리의 등창에 붙여 주자 놀라운 일이 일어났다.
고름이 흐르고 짓물러 며느리를 괴롭히던 고약한 상처가 며칠 만에 감쪽같이 치료된 것이다.
며느리는 물론 시어머니의 기쁨은 말로 다 할 수 없는 것이었다.
이때부터 이 작고 예쁜 꽃 이름을 “산자고(山뫼산, 慈 사랑 자, 姑시어머니 고)‘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며느리를 지극히 사랑하고 귀히 여긴 시어머니의 아름다운 이야기가 담긴 식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