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꽃이야기 > 나무와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딸나무  (0) 2019.05.25
박쥐나무  (0) 2018.07.18
까치박달  (0) 2018.06.20
곤줄박이(2)  (0) 2017.07.23
곤줄박이  (0) 2017.07.21

 

'들꽃이야기 > 나무와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나무  (0) 2019.05.25
박쥐나무  (0) 2018.07.18
까치박달  (0) 2018.06.20
곤줄박이(2)  (0) 2017.07.23
곤줄박이  (0) 2017.07.21

 

 

박쥐나무

 

덥고 습한 날씨로 사람들은 기운이 빠지고 몸이 축축 처진다.

하지만 숲은 더 바쁘고 울창해지는 중이다.

 

여름 숲은 울창함의 하이라이트이다. 계곡을 끼고 있는 숲은 더욱 그렇다.

숲에서 드물게 박쥐나무를 발견한다.

 

잎과 꽃 모양이 모두 특이해서 한 번 보면 알 수 있지만 아주 흔하지는 않다.

키가 5m 이하로 작은 나무라 사람들이 접근해서 보기에 좋다.

 

잎은 끝이 크게 3~5개로 파인다.

그 모양이 박쥐가 날개를 편 모양과 비슷해서 박쥐나무라고 한다.

 

꽃이 피기 전 꽃봉오리는 하얗고 길쭉하다.

꽃이 피면 하얀 꽃잎이 위로 말려 올라가고 가운데 암술과 노란 수술이 남아 있는데,

그 모양이 참 신기하고 예쁘다.

꽃잎이 수정을 하는데 방해가 되지 않게 잘 말아서 고정해 놓은 듯하다.

 

꽃잎이 화려한 꽃들과 참 대조적이다.

'꽃이 화려하지 않으면서 특이한 이 나무에 박쥐나무라는

조금은 어두운 이름을 붙이다니'

 

아쉬운 마음을 갖다가도 특이한 이름 덕분에

박쥐나무가 사람들의 관심을 받을 수 있겠다는 생각도 든다.

 

일본에서는 박쥐나무를 참외나무라고 부른다.

잎이 참외 잎과 닮아서 그렇게 부른다.

 

우리나라 식물 이름은 일본 이름을 가져와 부르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박쥐나무는 그렇지 않으니 이것 또한 다행이다.

 

가을이 되면 푸른빛이 나는 동그란 열매들이

꽃이 달렸던 자리에 드문드문 자리를 잡는다.

 

많은 열매에 많은 씨를 만드는 나무들과 비교했을 때

박쥐나무는 열매가 그리 많지 않다.

그래서 박쥐나무는 그렇게 자주 볼 수 없는 식물인가 보다.

 

동물처럼 식물도 살아남는 것이 중요하다.

약하더라도 살아있는 것, 그래서 씨를 만들 수 있는 것.

박쥐나무는 살아남는 방법으로 독을 선택한 것 같다.

 

적은 양의 열매를 맺는데 자기를 지키는 장치 하나 없다면

지금까지 살아남지 못했을 것이다.

 

그런 전략을 쓰는 식물들이 꽤 있다. 풀들이 그런 경향이 많은데,

처음에 많았던 풀들이 숲이 우거지면서 자취를 감췄다가

큰 나무라도 하나 쓰러지게 되면 다시 모습을 나타낸다.

땅속에 씨들이 많이 남아있던 것인데, 이런 것을 씨드뱅크(seed bank)라고 부른다.

 

숲이 번갯불에 타고 잿더미가 돼도 쉽게 회복하는 이유이다.

그래서 그 숲은 새로운 나무를 심지 않는 이상

그 전에 있었던 숲의 나무와 풀들로 다시 살아난다.

 

물론 예전의 큰 숲은 아니지만 어리고 왕성하게 자라는 숲이 된다.

안정적이지는 않지만 다이내믹한 숲이 된다.

 

우리나라의 잠재적인 숲은 도토리나무숲이다. 소나무숲이 아니다.

박쥐나무는 도토리나무숲에서 더 잘 산다.

기본적으로 침엽수는 다른 식물들이 견뎌내야 하는 물질을 분비하기 때문이다.

 

숲은 그 자체로 좋고 나쁘다 말할 수 없다.

있는 것만으로 숲은 그 역할을 다 하고 있다.

 

'들꽃이야기 > 나무와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나무  (0) 2019.05.25
산딸나무  (0) 2019.05.25
까치박달  (0) 2018.06.20
곤줄박이(2)  (0) 2017.07.23
곤줄박이  (0) 2017.07.21

 

 

까치박달

 

한반도 각처의 숲 속 골짜기에서 나는 낙엽교목이다.

낙엽교목으로 일본, 중국, 시베리아등지에 분포하며

우리나라에서는 지리산, 오대산, 속리산, 경북 봉화 등지에 자란다.

 

박달나무는 거제수나무처럼 곡우 때 나무줄기에 상처를 내어

흘러나오는 수액을 받아 마시는 풍습이 있다.

 

이 풍습은 1천년전 신라 화랑이 수련중 한 화랑이 갈증이 심해 물을 찾아 뛰어가다

나무에 걸려 넘어졌는데 그 나무의 부러진데서 물이 흘러나와 먹었더니

상쾌해진데서 유래한 것이다.

 

그후 박달나무는 수액유동이 심한 거제수나 고로쇠나무와 함께

수액을 채취해 마시는 풍습이 생겼다하며

지리산의 약수제가 그 전설을 이어온 유풍이다.

 

잎 뒷면을 손으로 만지면 약간 끈적끈적한 것이 박달나무의 특징이다.

꽃은 5월에 암수 한 나무로 암꽃은 2개씩 위로 서서 피며

수꽃은 1개씩 피고 수술이 48개로 가지 끝에 내려 숙여서 매달려 핀다.

 

열매는 타원형으로 좁은 날개가 있다. 포린은 측편이 피침형이다.

이와 비슷한 것으로 난형이며 길이 1.5-2cm이고

포린의 측편이 녹상피침형인 것을 개박달나무라고 하며 거의 전역에 자라고 있다

 

명주옷감을 감아 다듬이질 할 때 쓰던 홍두깨와 다듬이 방망이이다.

시냇가에서 빨래하는 여인의 빨래방망이나 디딜방아의 방아공이와 절구공이,

여인의 손때 묻은 함지박같은 목기류와 미모를 가꾸던 얼레빗등이 박달나무로 만들어졌고,

옛날 나졸들이 들고 다니던 육모방망이도 박달나무로 만들었던 것들이다.

 

박달나무가 유명한 탓에 박달이란 이름이 붙은 나무도 많다.

개박달나무, 물박달나무는 진짜 박달과 사촌쯤은 되나

까치박달은 서어나무에 가까워서 열 촌도 넘고

가침박달은 장미과()에 속하므로 아예 족보가 다르다.

 

어린 가지에서 제법 팔뚝만한 굵은 가지도 벚나무처럼 가로 숨구멍이 있으나

차츰 굵어지면 줄기는 큰 조각으로 벌어져 비늘처럼 떨어진다

자작나무류 수액은 건위, 이뇨, 식욕촉진, 신경안정,

위장병 및 여성산후증 등에 효과가 있다.

 

 

박달나무 중금속 정화 탁월

 

우리나라 향토수종인 박달나무가 폐광지역의 중금속 흡수에

효력이 뛰어난 것으로 조사돼 향후 수종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박달나무의 중금속 정화능력이 다른 나무에 비해

비소는 최고 14배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또 아연은 8, 납은 6.2, 알루미늄은 2.3배씩 각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침박달나무

가침박달나무는 산기슭 및 산골짜기에서 자라는 나무로서,

가지는 적갈색으로 털이 없으며 꽃은 45월에 핀다.

가침박달가침은 실로 감아 꿰맨다는 감치다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이며

실제로 가침박달나무의 열매를 보면 씨방이 여러 칸으로 나뉘어 있고

각 칸은 실이나 끈으로 꿰맨 것처럼 되어 있다.

또한 박달은 나무의 질이 단단한 박달나무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임실 관촌면의 가침박달나무는 장미과에 속하는 넓은잎나무로서,

우리 나라에서는 1914년에 처음 관찰된 11변종이 자라는 드문 수종이다.

 

까치박달나무(자작나무과)

제주도, 거제도 등의 도서지역에서 자라며 표고 1001,800m지대에 자생한다.

일본, 만주, 중국 등을 비롯한 동아시아 전역에서 자란다.

제주도와 거제도 등의 1001,800m지대에 널리 분포한다.

 

수목의 기상이 좋고 특히,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옅은 갈색을 띠는

연두색 종자포가 길며 관상가치가 있다.

 

생장이 빠른 장점이 있어 독립수 또는 집단식재하여

정원수나 공원수로의 이용이 가능하며, 분재로도 이용 가능하다.

 

목재의 재질이 단단하여 연장자루, 완구재 등에 쓰인다.

전국적으로 식재가능하다. 서어나무와 비슷한 회색이지만

수피가 서어나무에 비해 매끈하고 평활하며 흙갈색이 도는 차이를 가지며

잎이 서어나무에 비해 현저히 넓다. 1879년에 유럽에 소개되어 이용되고 있다.

 

개박달나무

낙엽교목이며 관목으로도 보고 높이 10m 정도로 자란다.

수피는 회색이며 벗겨지고 선상의 피목이 옆으로 배열되고 소지는 자갈색이다.

 

5월에 꽃이 피고 꽃은 황갈색이며 자웅1가로서

수상화서 웅화수와 자화수 간이 긴 원주형이다.

10월에 열매가 익고 난형이며 갈색이고 날개가 거의 없다.

 

 

 

 

수액나무 특성:

박달나무 수액은 맛이 담담하고 시원하며,

층층나무는 수액의 양이 많고 특이한 향이 있고,

 

호깨나무 수액은 맛과 향이 일품일 뿐더러 간기능을 회복하고

술독을 푸는 데 최고의 음료가 될 만하다.

 

대나무 수액은 중풍이나 고혈압, 심장병에 좋은 효과가 있고,

머루덩굴 수액은 간장 질병이나 신장병으로 몸이 붓거나 복수가 차는 데 좋다.

 

다래덩굴 수액은 항암작용이 뛰어나고 부종이나 신장병 환자들한테 효력이 크다.

서나무와 박달나무 수액은 뼈를 튼튼하게 하는 데 좋고,

으름덩굴 수액은 독을 풀고 소변이 잘 나오게 하는 효력이 있다.

 

 

 

'들꽃이야기 > 나무와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딸나무  (0) 2019.05.25
박쥐나무  (0) 2018.07.18
곤줄박이(2)  (0) 2017.07.23
곤줄박이  (0) 2017.07.21
배나무꽃  (0) 2017.04.2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