붉나무

 

붉나무는 햇빛을 좋아하여 다른 나무를 베어버린 벌채지에 흔히 자란다.

단풍이 드는 여러 나무 중에서 유독 붉나무만을 골라

붉음을 뜻하는 자를 붙여줄 만큼 단풍이 아름답다. 다른 이름으로 천금목이다

붉나무는 겹잎 잎자루에 날개가 있으므로 옻나무와는 쉽게 구분할 수 있다.

 

산림경제에는 천금목을 깎아 갓끈을 만들거나 구슬을 만들어 찬다라고 하였으며,

귀신을 쫓아낸다라고도 했다. 소가 병이 들면 천금목을 베어다가

외양간에 두르거나 잎을 잘게 썰어 풀과 같이 섞어 먹이거나 끓여 먹이기도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정도로는 천금목이라고 부르기에 조금 모자람이 있다.

하지만 붉나무에서 소금이 나오고, 여러 가지 병을 고치는

귀중한 오배자라는 열매가 열린다는 사실을 알면 이해가 간다.

 

팥알 굵기만 한 동그란 오미자 열매가 가을이 되면 겉에 하얗게 밀가루를 발라둔 것처럼 변한다.

여기에는 칼륨염 결정이 포함되어 있어서 익으면 제법 짠맛이 난다.

옛날 산골에서는 이를 모아 두었다가 소금 대용으로 쓰기도 했다.

 

능금산칼슘이 주성분이므로 나트륨이 들어 있는 일반 소금과는 근본이 다르다.

그래서 붉나무의 또 다른 이름은 염부목(鹽膚木), 혹은 목염(木鹽)이다.

 

붉나무의 잎에는 진딧물 종류인 이부자진딧물이 기생하여 잎의 즙액을 빨아먹으면

그 자극으로 주변이 풍선처럼 부풀어올라 거기에 벌레집을 만든다.

안에 들어간 진딧물은 단위생식을 반복하여 개체숫자를 늘리고,

계속 즙액을 먹으면서 벌레집을 점점 더 크게 만든다.

 

가을이 되면 아기 주먹만 한 벌레집이 생기는데,

안에는 약 1만 마리의 진딧물이 들어 있다고 한다.

 

이 진딧물이 다 자라서 구멍을 뚫고 탈출하기 전에

벌레집을 모아 삶아서 건조한 것이 오배자(五倍子).

 

오배자에는 타닌이 많게는 50~70퍼센트를 함유하고 있어서 가죽을 다루는 데 꼭 필요하고,

검은 염료를 얻을 수 있어서 머리 염색약의 원료가 되기도 한다.

 

 

 

오배자는 약재로도 널리 쓰였다.

동의보감에 보면 오배자를 붉나무 열매라 하여 속에 있는 벌레를 긁어 버리고,

끓는 물에 씻어서 사용했다고 한다.

 

 “폐에 풍독이 있어서 피부가 헐거나 버짐이 생겨 가렵고 고름, 또는 진물이 흐르는 것을 낫게 한다.

다섯 가지 치질로 하혈이 멎지 않는 것, 어린아이의 얼굴과 코에 생긴 감창(疳瘡),

어른의 입안이 헌 것 등을 낫게 한다라고 했다.

 

붉나무는 암수가 다른 나무이고, 여름철에 원뿔모양의 꽃차례에 연노란색의 꽃이 핀다.

붉나무는 옻나무나 개옻나무와 모양새가 비슷하다.

 

보통 붉나무는 옻이 오르지 않지만 피부가 예민한 사람들은

옻이 오르는 경우도 있다고 하니 주의가 필요하다.

 

 

'들꽃이야기 > 나무와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쇠딱따구리  (0) 2017.04.17
오미자  (0) 2016.09.18
고광나무  (0) 2016.05.24
새들의 지능  (0) 2016.04.04
구골나무  (0) 2016.01.05

고광나무(Philadelphus schrenckii)

 

봄철에 꽃과 나비나 벌을 한꺼번에 만나려면 고광나무를 찾으면 된다.

은은하게 풍겨 나오는 꽃향기는 숲 속을 지나가는 나그네의 피로를 씻어 주는 향긋한 향수가 되고,

벌이나 나비에게는 새봄 첫 번째로 꿀을 딸 수 있는 고마운 나무다.

 

고광나무의 흰 꽃은 티 한 점 없이 깨끗한 마음을 보는 듯 순수하다.

요즘처럼 사회가 혼란스럽고 기본 질서가 무너져 버린 세상을 살아가는 현대인에게

꼭 필요한 꽃이라는 생각이 든다.

 

화려하지는 않지만 약간 습하거나 얕은 산속 계곡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다

 

흰 꽃이 아름다운 고광나무는 꽃이 예뻐서인지

학명에 특별한 의미를 담지 않고 모두 사람 이름에서 기원했다.

 

속명 ‘Philadelphus’는 이집트의 왕 필라델프스(Philadelphus)를 기념하기 위해 붙인 것이고,

종소명 ‘schrenckii’도 슈렝크(Schrenck)라는 사람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

 

고광나무라는 우리 이름은 자생지에서 보여 주는 고풍스러운 모습의 꽃과 잎이

주변의 다른 식물에 비해 강하게 튀는 인상을 주므로 옛스럽지만 빛이 나는 나무라는 의미 같다.

 

잎을 자르면 오이 냄새가 난다고 하여 오이순이라고도 하고,

지방에서는 전체에 털이 많다고 털고광나무또는 쇠영꽃나무라고도 부른다.

 

고광나무속은 전 세계적으로는 70여 분류군이 자라는데 그중 우리나라에는 약 10종류가 분포한다.

잎에 털이 있고 없고 또는 암술대에 붙어 있는 털의 모양 등이

종을 구별하는 데 유용한 특징으로 이용된다.

 

고광나무의 뿌리는 약용하는데 주로 염증이 심한 치질과 허리나 등이 결리는데 효과가 있다고 한다.

지방에서는 강아지 등 집에서 키우는 애완동물이

고광나무의 잎이나 꽃을 먹으면 건강에 나쁘다고 구전되는 곳도 있다.

 

유사종으로

엷은잎고광나무는 고광나무에 비해 잎이 얇고 암술대 아래쪽에 털이 없는 것으로 구별하며,

섬고광나무는 2년 된 가지의 껍질이 벗겨지지 않고 잎 뒤와 잎자루에 털이 많은 차이로 구분한다.

'들꽃이야기 > 나무와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미자  (0) 2016.09.18
붉나무  (0) 2016.09.15
새들의 지능  (0) 2016.04.04
구골나무  (0) 2016.01.05
이스라지나무  (0) 2015.07.29

 

새를 잘 모르는 사람들이 하는 말, '새***'

까마귀는 7살 아이와 지능 맞먹는다는 실험결과도 있어

 
/ 김창엽
 
기사 관련 사진 

새 최근 춘분을 지나면서 낮이 밤보다 확실히 길어졌다. 낮 시간이 늘어나면 자연에 여러 변화가 생기지만,

 지저귀는 새 소리를 보다 자주 들을 수 있는 것도 그 가운데 하나이다.

탐조 활동이 활발한 데서 짐작할 수 있듯 조류는 지켜보는 재미가 상당한 동물이다. 나뭇가지에 앉아 있든, 하늘을 날든 눈길을 끈다.

 

사람들은 흔히 새를 아름답거나 멋진 동물로 여긴다. 그러면서 한편으로는 '새***'라는 비속어가 시사하듯 '나쁜 머리'의 대명사로 통하기도 한다. 새는 정말 지능이 떨어질까? 두뇌의 크기와 지능은 정비례 관계가 아니다. 그러나 머리가 작으면 아무래도 두뇌가 좋다는 인상을 주기는 어렵다. 새들을 지능 떨어지는 생명체로 인식하는 건 무엇보다 몸에 비해 현저히 작은 머리 크기 탓이 크다고 해야 할 듯하다.

'새***'라는 표현은 사실 한국에만 있는 건 아니다. 영어권에서도 'bird brain(버드 브레인)'이라는 단어가 종종 또 널리 쓰이는데, 국어에서와 완전히 똑같은, 즉 좋지 않은 머리를 빗대 사람을 비하하는 것이다. 헌데 새를 열등한 동물로 여기는 사람들의 대다수는 사실 새의 지능에 대해 충분한 지식을 갖고 있지 못할 확률이 높다.

새는 생각보다 머리가 좋다, 정말로

새들은 보통 사람들이 막연히 생각하는 것보다 지능이 훨씬 좋다. 실제로 새들이 의외로 뛰어난 지능을 갖고 있다는 학술 보고는 한둘이 아니다. 예를 들면 앵무새는 숫자를 여섯까지 셀 수 있다는 연구 조사 결과도 있다. 그런가 하면 물고기를 잡는 가마우지에게 8마리째 잡아 올린 물고기를 먹도록 훈련시킬 경우, 그 미만으로 고기를 잡았을 때는 물고기를 먹지 않는다는 관찰도 있다.

물론 모든 새들의 지능이 동일한 건 아니다. 조류학자들에 따르면 군집 생활을 하고, 상대적으로 두뇌 앞부분이 발달한 까마귀 계통의 새들이 다른 새들에 비해 머리가 좋다. 뉴질랜드 오클랜드 대학 연구팀은 까마귀의 경우 7살 먹은 어린아이와 맞먹는 추론 능력이 있다는 실험 결과를 내놓기도 했다.

새들이 지능이 간단치 않다는 점은 상당수 조류의 학습 능력이 상당하다는 점에서도 확인된다. 한 예로 최근 캐나다 맥길 대학의 조류학자들이 도시 새와 시골 새를 비교한 결과, 같은 종이라도 도시에 적응한 새가 보다 '스마트'한 것으로 드러났다. 멀리 있는 먹이를 당겨서 먹을 줄도 알고, 보다 과감하게 먹이를 공략하는 등 학습이 안 된 시골 새들과는 다른 행동을 보인다는 것이다. (https://www.youtube.com/results?search_query=bullfinch+in+barbados)

학자들의 연구가 아니더라도 일본 등지에서는 길거리를 질주하는 자동차를 '활용'해 호두 껍질을 깨는 새들이 목격되기도 했다. 즉, 껍질이 깨지지 않은 호두를 물어와 자동차가 다니는 길 위에 떨어뜨린 뒤, 차 바퀴에 호두가 깔려 껍질이 까지면 교통 신호를 받고 차가 멈춰 섰을 때 길로 뛰어들어 호두를 주워 먹는 것이다.

새가 침팬지나 돌고래 등에는 미치지 못할지라도 머리 나쁜 동물의 대명사가 될 만큼 지능이 떨어지지는 않는다는 게 조류전문가들의 일반적인 견해다. 그러니 '새***'라는 표현은 최소한 새의 지능에 대해 충분한 지식이 없는 상태에서 통용되기 시작했다고 추정할 수 있다. 겉만 보고 판단하면 결과적으로 우를 범할 수 있는데, '새***' 또한 그런 예가 아닐까?

 

 

 

'들꽃이야기 > 나무와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붉나무  (0) 2016.09.15
고광나무  (0) 2016.05.24
구골나무  (0) 2016.01.05
이스라지나무  (0) 2015.07.29
개다래  (0) 2015.05.31

 

 

'들꽃이야기 > 나무와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광나무  (0) 2016.05.24
새들의 지능  (0) 2016.04.04
이스라지나무  (0) 2015.07.29
개다래  (0) 2015.05.31
다래꽃  (0) 2015.05.3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