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래난초

 

연분홍 꽃이 옆을 보면서 꼬는 모습이 실타래 모양과 닮아 타래난초라 불린다.

생약명은 반용삼(盤龍蔘). 잎이 작아 별 특징 없는 잡초처럼 보여

꽃대가 없는 잎만으로는 쉽게 판별할 수는 없고 여름이 되어서야 꽃대를 보고 알 수 있다.

 

타래난초는 망자가 이승에서 못다 한 자식사랑이 발에 걸려

저승으로 가지 못하고 이승에 남아 백팔개의 번뇌를 하나씩 꼬아가며

후손의 복을 빌어 준 뒤 구천으로 향하는 꽃으로

 

실타래처럼 번뇌를 백팔번 꼬고 때로는 벌과 나비로 환생한 조상님들로부터

격려를 받으며 꼬기가 끝나면 망자는 한을 풀고

홀가분한 마음으로 이승을 떠난다는 전설을 가지고 있다.

 

난초과중에서 상대적으로 다른 난에 비해 제일 흔하게 자라나며

잔디의 뿌리에 있는 박테리아와 공생하기 때문에

 

잔디가 많은 양지바른 무덤가 주변에서 대군락으로 자라나기 한다

가끔 변이종으로 흰타래난초가 보이기도 한다.

 

 

 

 

이름 그대로 타래처럼 꽃이 나선 모양으로 돌아가며 핀다

꽃을 한쪽으로 몰아서 피우면 벌레를 불러 모으는 데는 좋을지 모르지만

한쪽으로 기울어 버릴 위험이 있다

 

그러므로 평등하게 돌아가며 꽃을 피워 조화를 유지하고 있다

타래난초는 오른쪽감기와 왼쪽감기의 양방향이 있는데

조사를 해보면 두방향이 대략 비슷한 비율이다

 

타래난초는 잔디밭이나 무덤 등에 자라는 들풀인데 핑크빛깔의 꽃을 귀엽게 피우기 때문에

다른 풀은 다 베어버리면서도 타래난초만은 그대로 남겨둔 것을 흔히 볼 수 있다

아름다움이 살아 남는데 도움이 된 샘이다

 

꽃이 아름다운 타래난초는 작은 들풀이면서도 난초의 일족이다

난초는 어느 종류나 아름답고 복잡한 모양의 꽃을 피우는데 타래난초도 빠지지 않는다

 

흰 레이스와 같은 꽃잎이 아래로 한 장 나와 있고

그것을 덮으려는 듯한 모양으로 핑크 색깔의 꽃잎이 투구처럼 겹쳐 있다

 

작지만 확대경으로 보면 상당히 아름답다 윗쪽 꽃잎에 암술과 수술이 겹쳐쳐 있으며

수술 끝에는 접착제가 붙은 꽃가루 덩어리가 준비되어 있다

 

 

 

타래난초는 이 커다란 꽃가루 덩어리를 자신을 찾아오는 벌레의 몸에 통째로 붙여 버린다

그리고 암술 끝은 더 찰기가 있는 접착제를 준비하고 기다리다가 벌레가 다가오면

잽싸게 벌레에 붙어 있는 꽃가루 덩어리를 때어낸다

 

타래난초는 씨앗을 엄청 많이 만든다

작은 꽃 한 송이가 수만개 이상의 씨앗을 만든다

작디작은 타래난초의 씨앗은 먼지처럼 바람을 타고 흩어져 간다

 

그런데 문제가 있다 씨앗이 너무 작아 발아에 필요한 영양분이 없다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씨앗은 무섭고 위험한 전략을 구상한다

타래난초의 씨앗은 난균이란 곰팡이 무리를 불러모아 놀랍게도 자신의 몸에 기생하도록 만든다

 

그리고 자신의 몸속에 들어온 균사로 부터 영양분을 흡수해서 발아한다

거기서 그치지 않고 난균까지 완벽하게 분해 흡수하여 자라는데 필요한 영양분으로 삼는다

그러나 까딱 잘못하면 거꾸로 균의 침입을 받게 돼 큰 피해를 입을 수도 있다

 

타래난초는 외떡잎식물 난초목 난초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추억, 소녀라는 꽃말을 가지고 있다

 

 

 

 

 

 

 

'들꽃이야기 > 적색들꽃'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분꽃  (0) 2016.09.24
인동덩굴  (0) 2016.09.15
꽃양귀비  (1) 2016.06.22
개양귀비  (0) 2016.06.05
라일락  (0) 2016.04.29

 

 

꽃양귀비 Poppy

 

꽃양귀비 하면 먼저 아름다움이 떠오른다.

옛 중국미인에 견줄만큼 꽃이 아름답기 때문일 것이다.

꽃말은 적색-위안, 위로 / 흰색- 망각 / 노랑- 사치, 환상)

 

세계적으로 약 70종이 분포한다. 일이년생 및 다년생인 것들이 있으나 주로 이년생이다.

유럽 남부와 북부, 아시아 온대지역, 호주 등지의 고산지대 초원에서 자생한다.

 

꽃색도 흰색, 노랑색, 주황색 등 매우 다양하다.

우리나라에는 양귀비, 개양귀비, 두메양귀비, 흰양귀비 등 4종이 재배 또는 자생하고 있다.

 

양귀비는 아편을 추출하는 약용식물로 더 알려져 있지만

화훼용(California poppy로부터 유래된 종류가 많음) 양귀비도

이젠 식물원 같은 곳에서 쉽게 볼 수 있다.

두메양귀비는 백두산에 자생하는데 이제 야생화 농가들이 흔히 재배하여 보급하고 있다.

 

 

꽃양귀비도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 꽃은 대부분 화려한 색깔이 많다.

화단에 여러가지 색들을 섞어 심어두면 여름 개화기 동안에 참으로 장관이다.

 

여름이면 과학원 야생화동산에 연약한 꽃대가 흐느적거리고

수많은 벌이나 곤충들이 오가는 장면이 연상된다.

양귀비라는 이름 때문에 아편을 만들 수 있는 것으로 오해할 수 있지만

꽃양귀비로는 마약을 만들 수 없기 때문에 양귀비와는 달리 재배를 규제받지 않는다.

 

양귀비와 꽃 양귀비의 간단한 구별방법으로 꽃대에 털이 있느냐 없느냐로 구별할 수 있다.

"양귀비"는 풀 전체에 털이 없고 1-1.5m 정도의 대형종인데 비해

"꽃양귀비"는 전체에 털이 있고 키도 1미터 정도로 조금 작다.

 

 

이 꽃에는 아름다운 전설이 있다.

아득한 옛날 인도에 한 행복한 왕자가 살고 있었다.

어느 날 정원을 거닐다 이상한 새가 나무 위에 앉아 있는 것을 발견했다.

왕자는 시종들에게 그 새를 잡아오게 했다.잡혀 온 새의 발목에는 금실이 매어져 있었고,

몸에서는 이상한 향내가 났다.왕자는 이 새를 금으로 된 새장에 넣었다.

그리고 침실 곁에 매달아 놓고 매일 바라보는 것을 하나의 즐거움으로 삼았다.

 

그런데 어찌 된 영문인지 이 새는 통 노래를 하지 않았다.

그런던 어느 날 왕자가 꿈을 꾸었는데 먼 나라 공주가

시종들과 함께 자기의 꽃밭 속에서 무엇인가를 찾고 있는 것이었다.

왕자가 물었다.무엇을 찾고 있느냐고, 그랬더니 공주가 말하기를

자기는 남쪽 아라후라 라는 나라의 공주인데

자기의 새가 발목에 금실을 끊고 달아나서 찾는 중이라고 했다.

 

왕자는 자기가 가지고 있는 새가 바로 그녀의 것임을 알자 그만 가슴이 뜨끔했지만

시치미를 뚝 떼고 그 새의 이름이 무엇이냐고 물었다.

그러자 공주는 그새의 이름은 자기 이름과 같아서 말할 수 가 없다고 했다.

 

자기네 나라에서는 공주의 이름을 알아내는 사람이

국왕이 되는 동시에 공주의 남편이 되기 때문이라고 했다.

그런데 그 이름은 새만이 알고 있으며,

새가 부르는 노래가 곧 공주의 이름이라고 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그 새는 한 가지 꽃만을 좋아하고,

그 꽃이 자기의 이름과 같은데 그 꽃이 여기에 없으니

그 새도 여기에 없는 것이 틀림 없다고 하며 그 곳을 떠나 버리고 말았다.

꿈에서 깬 왕자는 비로소 새의 비밀을 알게 되어서 여간 기쁘지 않았다.

이제 공주의 뜰에 핀 그 꽃만 따오면 되었다.

래서 힘센 용사를 뽑아 공주의 나라로 보냈다.

그러나 한 사람도 돌아 오지 않았다.

결국 왕자 자신이 그 꽃을 찾아 아라후라로 떠날 수 밖에 없었다.

 

공주가 사는 곳은 하늘까지 닿는 성이 세 겹으로 둘러 있고,

파수병들이 삼엄하게 지키고 있었다.

하지만 슬기로운 왕자는 무사히 성안으로 들어갔다.

그런데 꽃밭을 지키는 용사들은 모두 자기의 부하들이었다.

그는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하지만 이나라에는 이상한 약이 있어

한번 먹으면 그 전의 일을 모두 잊어 버리게 되어 있었다.

왕자는 밤을 틈타서 드디어 꽃을 따오는 데 성공했다.

 

꽃을 가지고 돌아온 왕자는 새장 앞에 그 꽃을 놓았다.

그 때서야 지금까지 침묵하고 있던 새가 비로소 아름다운 목소리로

파파베라 파파베라 하면서 노래를 부르는 것이었다.

해서 이 새의 이름도 ,꽃의 이름도 그리고 공주의 이름도 모두

파파베라임을 알게 된 것이다.

그 후 왕자는 공주를 왕비로 맞아들여서 오래오래 행복하게 살았다고 한다.

 

 

이 꽃이 중국에 전해진 것은 7세기경 당나라 때 아라비아 사람들에 의해서인데,

그것이 우리 나라에 들어온 연대는 확실하지 않다.

최초로 문헌에 나타난 것은 15세기,

그러니까 적어도 그보다 전인 신라 말이나 고려 때가 아닌가 한다

 

 

'들꽃이야기 > 적색들꽃'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동덩굴  (0) 2016.09.15
탸래난초  (0) 2016.07.14
개양귀비  (0) 2016.06.05
라일락  (0) 2016.04.29
아네모네  (0) 2016.02.05

 

 

꽃양귀비로 알려진 개양귀비는 마약성분이 없는 원예용 꽃입니다.

식물의 이름에 붙는 접두어 '' 자가 재미있습니다.

 

개나리, 개살구, 개똥참외에서 보듯이 ''자는

~만 못하다' 는 뜻으로 쓰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시대가 변하면 말의 쓰임새로 달라집니다.

요즈음 ''자는 형용사 앞에 붙어 '매우', '아주' 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개고생, 개슬프다, 개웃기다.... 등등 비속어로 많이 사용됩니다.

개양귀비는 또 우미인초(虞美人草애기아편꽃으로도 불립니다.

 

우미인은 초()나라 항우의 애첩으로 알려진 인물입니다 

항우가 유방의 군대에 포위되자 우미인과 석별의 정을 읊는 시를 읊었다고 합니다.

 

우미인은 항우의 시에 맞추어 노래를 부른 뒤 자결을 했습니다.

우미인이 죽고 난뒤 무덤에서 개양귀비꽃이 피었는데 그래서 붙은 이름입니다.

 

 

 

'들꽃이야기 > 적색들꽃'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탸래난초  (0) 2016.07.14
꽃양귀비  (1) 2016.06.22
라일락  (0) 2016.04.29
아네모네  (0) 2016.02.05
접시꽃  (0) 2015.07.04

 

 

'들꽃이야기 > 적색들꽃' 카테고리의 다른 글

꽃양귀비  (1) 2016.06.22
개양귀비  (0) 2016.06.05
아네모네  (0) 2016.02.05
접시꽃  (0) 2015.07.04
참나리  (0) 2015.06.1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