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이 겨우 이 정도라니... 우린 언제까지 살 수 있나
지구의 민물 양으로 따지면 20만 ㎦에도 훨씬 못미쳐사람의 몸무게 가운데 수분 비중은 절반이 넘는다.
남자는 대략 60% 안팎, 여자는 55% 안팎이다.
여자는 지방의 비율이 높은 탓에, 몸에 물이 적은 편이다.
사람의 생존에 물은 절대적이다. 굶어도 물만 먹으면 7~8주 정도까지 목숨을 부지할 수 있다.
하지만 물을 입에 대지 않으면 1주일을 넘기기도 쉽지 않다.
지구 표면 70% 이상이 물로 덮여 있다.
한국처럼 삼면이 바다인 나라에서는 아무리 내륙 지역이라 해도, 차로 서너 시간만 달리면 망망대해를 접할 수 있다.
게다가 한국은 산이 많은 탓에 강이 크고 작은 하천들 역시 잘 발달돼 있다. 여간해서는 물 결핍을 느끼기 어려운 환경이다.
그러나 세상이, 아니 지구 환경이 지난 100~200년 사이에 너무 변했다.
물 사정에 관한 한 특히 그렇다. 이른바 기후변화 때문이다.
기후변화는 단순히 기온의 변화만을 동반하지 않는다.
홍수와 태풍, 폭설, 가뭄 등, 이른바 '물 수지'를 좌우하는 기상 현상들 또한 과거와 상당히 많이 달라졌다.
세상에 널린 게 물 같지만, 사람이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민물'은 지구적 차원, 즉 거시적으로 본다면 '한 바가지'에 불과할 정도로 적다.
지구상의 전체 물 가운데 약 97%는 마실 수 없는 '짠물'인 까닭이다.
지구촌 사람들에게 가장 익숙한 민물의 보고는 호수와 강이다.
그러나 호수와 강의 수량은 전체 지구 수량의 단 0.013% 수준이다. 부피로는 약 17만8000㎦이다.
이 정도 부피의 물은 가로, 세로, 높이가 각각 55km인 정육면체 수조가 있다고 가정하면, 여기에 얼추 다 담을 수 있다.
55km라면 서울시청에서 평택시청까지의 직선 거리도 못 된다.
거대한 지구의 수많은 호수와 강의 물을 다 합쳐봐야 한 변의 길이가 55km인 수조에 모두 몰아 넣을 수 있다는 뜻이다.
하루만 물을 먹지 않아도 '갈증'을 호소할 수밖에 없는 게 인간이다.
헌데 전세계 수십 억 인구의 수원 역할을 하는 민물 물탱크의 크기는, 지구 차원에서 본다면 '애걔~' 하는 말이 절로 나올 정도로 규모가 작다.
미국 지질조사국(USGS)이 얼마 전 지구의 물 상태를 한눈에 보여주는 일러스트레이션을 공개해 화제가 된 적이 있다.
지구가 품고 있는 물을 방울 모양으로 표시한 그림이었는데,
지구가 눈동자 크기라면 지구상의 민물 총량은 눈물 한 방울에도 훨씬 못 미치는 작은 크기였다.
지구의 민물 총수량은 '아주 적은양'
해수와 담수 등을 합한 총량은 직경 1384km의 구(가장 큰 물방울)에 해당한다.
민물의 총량은 직경 273km(중간 크기 물방울), 호수와 강 하천이 품고 있는 물의 양은 직경 56km 남짓인 구(가장 작은 물방울 모양)의 부피 정도이다.
인간의 생존에 '생명줄' 역할을 하는 지구의 민물 총수량은 순식간에 바닥을 드러낼 것 같은 느낌을 줄 정도로 아주 적은 양이다.
문제는 민물의 절대적인 양이 적다는 데 있지 않다.
장구한 세월 동안 지구의 민물 총량은 사실 큰 변화가 없었다.
가까운 미래에도 지구상의 담수 총량이 급격하게 변화할 확률은 그다지 높지 않다.
경제 수준이 향상되고, 인구가 늘어나면 물의 소모도 증가하게 마련이다.
그렇다고 해도 얼마 안 돼 보이는 현 수준의 민물 총량만으로도 지구촌의 인간들을 부양하는 데 양 자체로는 크게 모자람이 없다.
지구촌의 여러 지역에 걸쳐 발생한 최근의 물 부족 문제는 무엇보다 '물 배분'이 제대로 이뤄지고 있지 않은 탓이 크다.
홍수나 폭우로 필요 이상으로 물이 넘치거나, 정작 물이 필요한 곳에
또 물이 필요한 시기에 오랜 가뭄 등으로 물이 극단적으로 귀하다는 게 문제의 핵심이다.
기후변화로 물 공급이 충분하지 않은 지역에 대도시가 형성되고 인구가 몰리면,
물 부족은 한층 심화될 수밖에 없다.
최근 급격한 개발이 이뤄지는 국가들에서 호수와 강물이 흔히 말라붙고,
생태계가 파괴될 위험에 처하는 일이 빈발하는 것은 이런 이유에서이다.
물을 생명의 원천으로 삼아 살아나가는 건 사람만이 아니다.
동물도 식물도 물 없이는 생명을 제대로 보전하기 힘들다.
강수 패턴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비상한 물 대책 마련은 이제 선택이 아니라 필수다.
세계 주요 도시치고 큰 강이나 호수를 끼지 않은 데가 드물다는 사실을 상기해 보라.
다소 과장하면 물로써 흥하고, 물로써 망하는 게 인간이다.
강수 패턴이 과거와 달라졌다 해서, 산이나 강 혹은 하천을 옮길 수는 없는 일이다.
국가적으로 효과적인 물 관리 대책을 세우고, 개개인은 물 절약 습관이 몸에 배어야 한다.
후손들을 위해, 또 지구를 위해 인간들은 자신들이 처한 '물의 현실'을 직시해야 할 때다.
'사는이야기 > 구암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12차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 총회 (0) | 2014.09.24 |
---|---|
활강스키장 투런 고려하라 (0) | 2014.09.22 |
가리왕산을 지키는 숲 문화제 (0) | 2014.09.19 |
귀농산장, 위험한 초대 (0) | 2014.09.18 |
정선 가리왕산 벌목공사 중단 촉구 (1) | 2014.09.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