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화식물 [歸化植物, naturalized plant]


본래는 그 지역에 생육하지 않았으나 여러 원인에 의해서

2차적으로 도래 침입하여 야생화한 식물의 총칭.


특히, 본래의 식물상(植物相)을 구성하고 있던 기존식물에

새로 도래한 식물이 같은 환경하에서 공존하여 생활하며,


그 양자가 어느 정도의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단계에 이른 것을

참뜻의 귀화식물이라고 한다.


같은 뜻을 가진 말에 이생(移生) ·순화(馴化) ·이주(移住) ·야화식물(野化植物) 등이 있으나,

귀화라는 말이 관용어로서 널리 쓰이고 있다.



일반적으로 귀화식물이라 하면 여러 종류가 있으나 크게 5가지로 구분한다.


① 자연귀화식물:

전혀 알지 못하는 사이에 도래하여 귀화상태가 된 엄밀한 뜻에서의 귀화식물이다.

따라서, 그 도래시기는 명확하지 않은 것이 많다.


돼지풀 ·도깨비바늘 ·개망초 ·실망초 ·망초 ·개쑥갓 ·큰방가지똥 ·서양민들레 ·

큰개불알풀 ·광대수염 ·달맞이꽃 ·콩다닥냉이 ·애기수영 등이 있다.


② 인위적 귀화식물:

목초 ·사료 ·약용 ·식용 ·관상용 등의 여러 목적이나 용도에 의해

인위적으로 수입 재배된 유용식물이 야생상태가 된 것으로 자연귀화식물과 대조된다.

도래시기가 비교적 분명할 때가 많은 식물의 한 군(群)이다.

자운영 ·개자리 ·붉은토끼풀 ·토끼풀 ·메귀리 등은 목초나 사료에서 유래하였고

미국형개는 약용에서, 뚱딴지 ·물냉이 등은 식용에서,

데이지 ·큰달맞이꽃 ·분꽃 등은 관상용에서 유래되었다.


③ 가주귀화식물(假住歸化植物):

도래의 상태가 자연 귀화의 경우와 똑같으나 6개월에서 2년의 짧은 기간 내에

자연 소멸되는 일시적인 것을 가리킨다. 개맨드라미가 이에 속한다.


④ 예비귀화식물(豫備歸化植物):

국부적으로 귀화식물로 되어 있으나, 널리 분포하지 못하고 있는 한 무리를 말한다.


⑤ 사전귀화식물(史前歸化植物):

이제까지 열거한 귀화식물은 도래시기가 역사적으로 보아 비교적 분명한 것들이지만,

다시 과거로 거슬러 올라가면 역사 이전에 국외로부터 도래하여

귀화했을 것이라는 학설도 있으며, 이것들을 하나로 묶어서 사전귀화식물이라고 한다.

이것들은 현재 논밭 등의 농경지 주변이나 인가 부근에서 생육하고 있다.


냉이 또는 별꽃 ·괭이밥 ·질경이 ·개여뀌 ·띠 ·방동사니 등 우리 주변의 잡초들이

넓은 의미에서 사전귀화식물의 범주에 속한다.






귀화식물의 침입 전파 경로는 여러 가지이지만, 흥미로운 것은 외국과의 교통이나

국외로부터 물자의 수출입에 직간접으로 관계가 있는 장소, 예를 들면

항구(선박) ·비행장(항공기) 또는 세관 ·역(철도) ·각종 시험장 ·목장 ·종축장 ·양계장 ·

식물원 ·약초원 ·방직공장 등을 들 수 있다.


현재 한국에서 볼 수 있는 귀화식물의 원산지는 거의 전세계에 걸쳐 있으나

그 주요지역은 유럽 ·아메리카 ·중국 ·인도 ·지중해 연안 ·오스트레일리아 등지이다.


동부아시아의 고유종인 칡 ·참억새 등은 농산물의 포장 등에 묻어

미국 등지로 건너 가 귀화되었으며, 인동(忍冬)은 관상용으로 미국에 도입되었다.

한국 고유종인 섬말나리는 관상용으로 일본에 이주되어 귀화한 지 오래되었다.




귀화식물의 특징


귀화식물은 그 종수가 많으며, 종에 따라 많은 차이점이 있으나 대체로 다음과 같다.


① 귀화식물은 번식력이 왕성하다.

도심지에서 우리의 토종민들레를 구축했다고 흔히 말해지는

서양 민들레의 종자생산량은 재래종 민들레의 수십 배나 되며,

재래종 민들레는 봄철에만 발아하는데 비해,

서양 민들레는 연중 발아한다.


또 단위생산을 함으로써 단 한 개체만 침입해도

다른 개체의 수정 없이 후손을 생산할 수도 있다.


그리고 망초나 개망초 등은 많은 종자를 생산하며,

조건이 여의치 않아 식물체가 5cm 미만일지라도 수백 개의 종자를 생산한다.


② 귀화식물은 거의가 양지식물로서 조도가 낮은 숲 속에서는 살아갈 수 없다.

따라서 건물을 짓거나 길을 낼 때 생긴

길가, 절개지, 휴경지, 논밭 등에 침입하여 무성히 자란다.


③ 귀화식물은 햇빛만 받을 수 있으면 어떤 토양조건에서도 잘 자란다.

쓰레기장 등 질소분이 많은 곳은 물론 척박한 곳에서도 생명을 유지하는데,

특히 아까시나무나 족제비싸리를 비롯하여 토끼풀, 붉은 토끼풀, 자주개자리

같은 콩과식물은 뿌리혹과 공생하여 고정 이용하고 있다.


④ 귀화식물의 종자는 뛰어난 분산수단을 가지고 있다.

망초, 개망초, 가시상치 같이 깃털이 있어 바람에 의하여 멀리 산포시키거나

미국가막사리, 가시도꼬마리, 울산도깨비바늘등 씨앗에 가시가 있어

사람이나 동물 등에 의하여 멀리 산포되며,


미국제비꽃이나 유럽쥐손이는 씨껍질이 터질 때의 탄력으로

씨앗을 멀리 터뜨리기도 한다.

'사는이야기 > 꽃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환삼덩굴과 도꼬마리  (0) 2008.10.08
코스모스와 함께  (0) 2008.10.04
쑥부쟁이의 종류  (0) 2008.09.19
독이 있는 식물  (2) 2008.09.12
개모시풀, 오리방풀, 좀깨잎  (0) 2008.09.08

+ Recent posts